중국 근대 역사학 지식의 생산 확산 체제와 지형

 

최 은진.유현정

 

1895년 청일전쟁 이후 근대적 역사학 훈련제도가 확립되기 시작하면서 전통적으로 중시되던 사학은 변화를 맞게 된다. 역사는 다른 근대적 학문들과는 달리 과거로부터 전통적 문화적 학문의 중요한 부분이었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중국에서도 근대 역사학의 지식체계와 이를 통한 역사학 지식의 생산과 유통은 전통시대와는 달라졌다. 역사적으로 드러난 역사학자들을 볼 때도 전통적 역사학자와 근대적 역사학자의 존재방식도 달랐다. 물론 新史學을 제창한 양계초(1873-1929), 근대적인 역사학자 호적(1891-1962)등은 한 분야의 전문가라기 보다는 역사학, 철학, 문학, 사회학 등 여러 분야의 저널리스트와 같은 위치였지만 점차 근대적 직업적 역사학자들이 출현하게 되면서 근대 역사학은 다양한 방향으로 전개되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역사학 학문체계의 변화의 주요 동인은 무엇이었는가. 우선 청제국의 몰락과정과 연결지어 고려해 볼 수 있다. 즉 청말 근대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제국이 아닌 근대 국가의 형성에 관심을 갖게 되었던 것이 중국의 과거와 과거에 관한 지식생산의 과정에 서 새로운 제도구축이 필요한 이유였다. 청대의 공식적 역사가 史官에 의해 생산되던 기거주, 실록, 정사 등의 시스템으로 생산되었던 것이라면 이제 근대적 교육제도가 이를 대체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학문의 전문화를 추구하는 근대적 교육제도는 독일에서 시작되었지만 이는 곧 서구 제국주의의 영향과 함께 세계로 전파되어 나갔다.

그러므로 중국은 과거의 풍부한 역사서술의 전통이 있었지만 이제 국가건설을 위한 필수적인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해 역사지식을 재구축할 필요가 제기되었고 이를 위해서는 서구의 역사학 연구방법을 차용할 필요가 생겼던 것이다.

그렇다면 근대 역사학의 수용과 정립에서 주로 살펴봐야 할 것은 학과체계라는 근대적 학문체계이며 이는 주로 대학의 역사학과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또한 근대적 전문 역사학자들의 활동의 장 역시 대학이며 학회와 역사잡지들을 통해 학문적 네트워크와 영향력을 행사해 갔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근대 역사학의 학문적 생산체계를 살피기 위해 크게 근대에서 1949년까지를 역사학의 학문체계의 정립시기로 1949년에서 1978년 개혁개방 전까지를 사회주의와 근대 역사학의 변용시기로 1978년에서 현재까지를 다양한 변화와 발전의 모색 시기로서 나누고 근대역사학의 지형도를 그려보되 대학의 학과체계 및 연구기구들의 계보를 작성하여 근대역사학의 구조도 아울러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근대 역사학학문의 생산과 확산과정에 지속되는 학문의 특징과 내용도 드러날 것이라고 생각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지식담론] 중국 근대 역사학 지식의 생산 확산 체제와 지형- 머리말 최은진 2012-07-13 6925
8 [과학기술] 1997년 중국과학원 원사 file 유정원 2012-06-20 6502
7 [과학기술] 1995년 중국과학원 원사 file 유정원 2012-06-19 7064
6 [과학기술] 1993년 중국과학원 원사 file 유정원 2012-06-05 6644
5 [과학기술] 1991년 중국과학원 원사 file 유정원 2012-05-08 6749
4 [과학기술] 1980년 중국과학원 원사 file 유정원 2012-05-07 7297
3 [과학기술] 1957년 중국과학원 원사 file 유정원 2012-05-02 6607
2 [문학예술] 중국 현당대 문학논쟁의 계보와 문학 지식인(49년이전-1) file 박영순 2012-05-02 8239
1 [과학기술] 1955년 중국과학원 원사 file 유정원 2012-05-01 68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