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城市地标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189_산업경제_박철현_지역별-城市地--관련-논문-수량과-이에-대한-분석.jpg

키워드: 城市地标

대상시기: 전시기

 

城市地标란 도시랜드마크를 가리킨다. 개혁기 중국에서 분권화와 함께 도시정부는 도시의 상품가치를 증대시키고 도시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 도시랜드마크를 개발하고 이것을 자신의 도시의 대표적 이미지로 정착시키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예들 들어, 북경의 경우, 고궁, 인민대표대회당, 중국국가박물관, 올림픽경기장 등이 북경을 나타내는 대표적 랜드마크이고, 상해의 경우, 동방명주, 외탄의 옛 건물들, 상해 엑스포 전시관 등이다. 사회주의 시기와 달리, 개혁기의 이러한 도시랜드마크는 곧 상품으로서의 도시의 가치를 제고시키는 중요한 상징자본으로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중국의 도시정부들은 자신의 전통과 현재를 대표하는 도시랜드마크를 개발하고 동시에 외부에 적극 알리기 위해서 노력한다. 그런데 개혁기 중국의 도시는 계급과 계층의 분화가 뚜렷이 진행되어서 사회주의 시기의 인구의 동질성이 사라졌기 때문에, 도시를 대표하는 상징자본인 도시랜드마크의 선정과정은 곧 개혁기 도시에 등장한 다양한 계급 계층들의 이해관계가 경합하고 투쟁하는 과정이라고도 볼 수 있다. 이미 개혁기 38년째에 들어선 중국의 도시에서 노동자나 농민공은 도시의 주인이 아니고 도시도 생산의 도시가 아니며, 사회주의 시기 노동자들이 거주하던 공인촌(工人村)은 이미 퇴락한 과거의 기억일 뿐이다. 도시의 하층민 집단을 형성하고 있는 실직노동자나 농민공이 거주하는 저층공동주택, 교외의 무허가 판자촌 등을 도시랜드마크로 내세우는 중국의 도시는 당연히 없다. 이들 도시들이 내세우는 도시랜드마크는 앞서 지적한 것과 같은 크고, 웅장하며, 세련되고, 현대적인 시장경제를 상징하는 것들이거나, 민족적 국가적 자부심과 통일성을 표방하는 것들 뿐이다. 개혁기에 도시랜드마크 선정을 둘러싸고 벌어진 도시 계급과 계층들 사이의 경합과 투쟁에서 특정 집단이 승리한 것이다.

   CNKI에서 “城市地标를 키워드(关键词)로 해서 제목에서 검색한 결과, 모두 310편이 검색되었다. 북경 116편으로 1(37.4%), 광동 29편으로 2(9.3%), 호북 24편으로 3(7.7%), 상해 194, 흑룡강 12편으로 5, 호남 11편으로 6위 등이다. 다른 조사와 마찬가지로 북경이 37.4%로 압도적 1위를 차지한 것은 고도 북경이 가지고 있는 다양한 문화적 자원과 현대적 건축물을 배경으로 도시랜드마크 조성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많은 대학과 연구기관이 밀집해 있는 북경은 자신 뿐 아니라 다른 도시들의 도시랜드마크 조성을 위한 연구의 중심지로서도 역할하고 있다는 것도 압도적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이유일 것이다. 기타 다른 도시들 사이에는 차이가 있지만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란 측면에서 보면 유의미한 질적 차이가 있는 것 같지 않다. 다만 연해지역과 내륙, 북부와 남부를 가리지 않고 조사결과가 전국적으로 골고루 분포해있다는 사실은 개혁기 중국 도시들은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도시랜드마크의 조성을 통해서 상징자본을 증대시켜서 장기적으로 경제발전을 도모한다는 측면에서는 동일하다고 추정할 수 있겠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362 [현대 중국 지식지형 리포트: 2015-5-41] 제 3의 길로서의 사회민주주의 연구 지역지형 file 최은진 2016-01-25 3084
36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6-1-53] ‘문인집단’에 대한 연구 상황 file 박영순 2016-04-27 3084
36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6-2-47] 중국의 대만선거 연구동향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6-01-25 3089
35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1-2-94] 중국의 ‘대만문제’ 연구의 지역별 분포 광수 2021-11-26 3095
35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3-4-16] 지역별 农民工市民化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3-05-22 3099
35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8-2-67] 중국 대학의 맑스주의학원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8-02-27 3101
35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4-1-31] 2000년대 ‘저층’문제에 관한 학술연구 상황 file 박영순 2014-01-23 3108
35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2-63] 중국의 양안교류 연구동향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7-09-20 3115
»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4-33] 지역별 城市地标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5-06-22 3123
35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2-39] 중국의 양안관계 연구동향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5-04-21 3126
35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4-58] 지역별 城市棚户区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7-08-23 3127
35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8-4-67] 지역별 社区抗逆力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8-06-24 3129
35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8-2-68] 중국의 ‘영도제도(领导制度)’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8-03-26 3133
34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1-104] 두본(杜本) 『곡음(谷音)』의 인물과 지역분포 file 박영순 2022-05-16 3136
34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5-51] 중국 여성사연구의 지역지형 file 최은진 2017-09-22 3142
34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8-4-65] 지역별 旧工业区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8-04-17 3143
34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4-4-27] 国际社区 관련 논문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4-11-22 3146
34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4-1-40] 화인 디아스포라작가 가오싱젠의 네트워크 file 박영순 2014-11-27 3148
34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6-2-48] 중국의 여론동향조사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6-03-24 3150
34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3-4-17] 지역별 农民工子女教育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3-06-18 3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