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상반기-지역별-GDP증가율.jpg

출처: 중국경제망(中國經濟網)

 

지난 730일 중국경제망에 따르면, 2015년 상반기 중경(重慶)이 중국 31개 지역 중 가장 빠르게 GDP가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국경제망의 이번 조사는 각 성의 통계국이 공식발표한 자료에 기초한 것으로 상반기 중국의 지역별 경제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성장이 둔화되고 있는 가운데, GDP성장이 빠른 상위 3개 지역으로는 중경(11.0%), 귀주(10.7%), 그리고 천진(9.4%) 순이었는데, 중국에 서부지역에 속하는 중경과 귀주가 각 1-2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은 동연해안 지역의 발전이 내륙지역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서부 12개 지역 중 내몽고를 제외한 11개 지역의 2015년 상반기 GDP성장률이 7%로 이상인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서부지역의 주요 지역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지역에서 경제발전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자료를 통해 그동안 중국경제의 이끌어 왔던 3개 지역이며 GDP 규모가 큰 광동성, 강소성, 산동성의 상반기 성장률은 대체로 높지 않다는 점이다. 광동성의 경우 전체 31개 지역 중 20위에 그쳤으며, 산동성 역시 18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 두 지역은 8% 성장도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강소성의 경우 8.5%의 성장을 보이면서 8위에 이름을 올려놓고 있다.

 

한편, 동북3성인 요녕성, 길림성, 흑룡강성의 GDP성장률은 최하위 수준에 머물러 있다. 서부지역 보다 낮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데, 요녕성의 경우 불과 2.6% 성장에 그쳐 최하위이고, 흑룡강성의 경우 5.1%29, 길림성은 6.1%28위를 기록하고 있다. 요녕성은 동북3성 중 상대적으로 GDP규모가 큼에도 불구하고 길림성이나 흑룡강성의 1/3 수준의 성장을 보이고 있다는 점을 주목해 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목표-증가율.jpg

 

요녕성의 금년도 GDP증가 목표는 6.0%였다. 이는 길림성이 6.5%, 흑룡강성이 6.0% 목표와 비슷하다. 그러나 상반기에 2.6%에 머물러 목표와 실제 상반기 성장률 간의 격차는 높았다. 3.4%31개 지역 중 가장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최근 중국경제가 불안정하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 하반기에도 요녕성이 금년 목표를 달성하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이는 산서성, 섬서성, 서장 등에서 마찬가지이다. 물론 서장의 경우 12%라는 너무 높은 성장목표를 잡았기 때문에 9.1% 성장했지만 그 목표와의 격차가 크게 보인다는 차이가 있다. 섬서성의 경우 10%의 증가목표를 제시했으나 성장세가 그 만큼 빠르지 않고 있다.

증가율-목표.jpg

 

 

* 본 보고서의 내용은 중국인문사회연구소의 지식생산이므로 인용시 자료원을 명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44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3-16] 지역종합발전지수 file JoonHwan 2012-07-04 4002
44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4-6] 2010 과학기술촉진 사회경제 평가 file 유정원 2012-07-23 3994
44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1-13] 2009년 지역별 국내, 수입 TV연속극 방영 상황 file 박영순 2012-07-23 4600
43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3-17]중국 각 지역 전력소비량 file JoonHwan 2012-08-14 4215
43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2-5-12] 문화적 세계화 담론 지역별 지형 file 최은진 2012-08-16 5414
43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4-7] 2011년 과학기술 진보 통계 검측 지수 file 유정원 2012-08-18 3891
43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1-14] 2009년 지역별 국내, 수입 TV애니메이션 방영 상황 file 박영순 2012-08-21 3969
43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1-15] 중국작가협회 회원의 출신지역 분포 file 박영순 2012-09-04 4096
43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2-5-13] 사회주의민주담론 지역별 지형 file 최은진 2012-09-14 5610
43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2-10] 중국정치학회 이사진의 현직과 출신대학의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2-09-28 5310
43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4-8] 지역별 공간생산 관련 논문 수량 file 박철현 2012-09-28 4739
43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2-5-14] 약세군체담론 지역별 지형 file 최은진 2012-10-17 5493
43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1-16] 2009년 전국 각급 종합성 신문 출판 현황 file 박영순 2012-10-17 4530
42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2-11] 중국 대학, 대학원 사상정치교육전공 개설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2-10-26 5040
42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4-9] 지역별 文化研究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2-10-30 5491
42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1-17] 2000년대 ‘인터넷문학’ 학위논문의 지역별 분포 file 박영순 2012-11-13 4327
42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2-5-15] 하버마스의 '공공영역' 담론의 지식 지형 file 최은진 2012-11-22 5064
42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4-10] 지역별 老工业城市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2-11-26 5341
42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2-12] 정치학행정학 전공 개설 대학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2-11-27 6444
423 [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2-13] 중국공산당 제18차 당대표 직능 및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2-12-22 5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