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지역별 최고자산가와 자산총액.jpg

 

 

중국부자를 연구하는 연구소인 후룬(胡潤)은 지난 1012일 중국부자명단과 자산 총액을 발표하였다. 이른바 중국판 포브스라고 하는 후룬바이푸방(胡润百富榜)1999년부터 중국의 부자 자산변동을 연구하여 매년 최고 부자들의 순위를 발표해 오고 있다. 영국 기자이면서 회계사인 루퍼트 후거워프(Rupert Hoogewerf)가 설립한 이 연구소는 중국 대륙 밖의 화교와 대만의 부자들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오직 중국 대륙 내의 부자들만을 조사하여 그 순위를 발표해오고 있는데, 2017년 중국의 최고부자는 부동산업 투자회사인 중국헝다(中國恒大)의 쉬자인(许家印)으로 약 2,900억위안(한화 477천억원)의 자산을 소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과 2015년에는 최고부자였던 완다(万达)의 왕젠린(王健林)2017년에 5위로 밀려났고, 작년까지 10위 안에도 들어와 있지 않았다. 금년에 쉬자인이 왕젠린을 대신해 1위에 오른 것이다. 자산총액 2위는 텅쉰(腾讯)의 마화텅(马化腾, 2500억 위안), 3위는 알리바바(阿里巴巴)의 마윈(马云, 2,000억 위안)이 그 뒤를 이었다.

 

중국 최고 부자들의 지역별 분포와 그 자산총액을 보면, 먼저 광동성의 최고 부자는 역시 쉬자인이었으며, 다음의 저장성은 마윈, 베이징은 왕젠린으로 조사되었다. 장쑤의 옌하오(嚴昊, 1150억 위안), 텐진, 후난, 산동, 상하이, 허베이, 충칭, 푸젠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1,000억위안(한화 약 165천억원) 이상의 부자가 사는 지역의 광동, 저장, 베이징, 장쑤 4개 지역이었고, 상하이 최고 부자인 궈광창(郭廣昌)의 자산총액은 625억위안으로 전체 25위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 칭하이(靑海) 지역의 최고부자인 리언후이(李銀會)56억위안(한화 9,210억 원)의 자산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광동 최고부자와 칭하이 최고부자 간의 자산총책의 격차는 무려 52배나 되었다. 10위 내의 중국 부자들이 종사하고 있는 주요 사업분야를 살펴보면 대체로 부동산과 IT 등 두 업종으로 나뉜다. 부동산업으로 부를 축적한 것으로는 1위인 헝다를 비롯해, 전체 4위인 비구이위안(碧桂园)의 양후이옌(杨惠妍), 완다의 왕젠린 등이 있으며, IT관련 분야에서는 2위인 텅쉰을 비롯해 알리바바, 바이두(百度), 왕이(網易) 10위 내 4명이 포함되어 있다.

 

201712월 현재 중국의 1인당 GDP8,280달러(한화 890만원) 정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한국은 29,115달러 = 3,132만원). 반면 2016년 중국정부의 노동사회보장 통계를 인용한 관영 신화통신은 중국 자산규모 상위 10%의 자산총액이 중국 전체 재산의 45%를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 빈곤층 10%가 소유한 자산은 중국 전체자산의 1.4%에 불과하다고 보도한바 있다. 그리고 회사 내에서의 경영관리자와 일반 직원 간의 수입격차는 평균 20배 이상이 나고, 지니계수는 0.4를 넘어서 대표적인 소득불평등 국가로 분류되어 있다. 평등한 사회의 지향하는 이른바 사회주의국가, “신시대 중국특색의 사회주의를 목표로 하고 있는 중국의 현주소이다. “사회주의부국을 꿈꾸는 중국이 부자와 가난한 사람 간 거대한 간격을 어떻게 줄여나갈 것인지를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본 보고서의 내용은 중국인문사회연구소의 지식생산이므로 자료원을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322 [현대 중국 지식지형 리포트 : 2014- 5-36] 미국공자학원 설립 중국 연계 대학 지역지형 file 최은진 2014-12-22 3630
32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4-2-36] 중국의 대만 정치, 지식인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4-12-23 5827
32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4-3-35] 재미 중국 화상사단(華商社團)의 출신지역 분포와 특징 file 서상민 2014-12-29 3691
31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4-29] 지역별 户籍改革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5-01-12 2834
31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1-41] 국학 교육의 연구 상황 file 박영순 2015-01-19 3036
31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2-37[ 2013년도 중국 NGO의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5-01-19 3441
31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5-3-36] 1998-2014년 《Cell》, 《Nature》, 《Science》지에 논문을 발표한 중국대학들의 소재지역별 논문수 분포와 그 특징 file 서상민 2015-01-22 3423
31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1-42] 가오싱젠의 문학지형도 file 박영순 2015-02-10 3649
31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4-2-38] 중국 소수민족 자치행정구역의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5-02-16 7693
31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4-30] 지역별 劳动过程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5-02-17 3435
312 [현대 중국 지식지형 리포트 : 2015- 5-37] 공자학원과 국가문화안전 담론 지역지형 file 최은진 2015-02-17 3076
31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5-3-37] 2014년 말 현재, 중국 지역별 대학수와 사립대학 수 분포 현황 file 서상민 2015-02-24 5788
31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1-43] '인문학'을 주제로 한 학위논문의 연구상황 file 박영순 2015-03-24 3353
30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5-3-38] 2014년도 중국 31개 지역의 GDP 총량과 성장률 그리고 그 특징 file 서상민 2015-03-26 8553
30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4-31] 지역별 积分入户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5-04-21 3016
30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2-39] 중국의 양안관계 연구동향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5-04-21 3126
30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5-3-39] 2014년 중국 도시주민 일인당 가처분 소득의 지역별 분포와 성장률 file 서상민 2015-04-26 5855
30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1-44] ‘문화보수주의’의 출현과 연구 상황 file 박영순 2015-05-20 3419
30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4-32] 지역별 生态治理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5-05-21 3187
30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2-40] 중국의 양안교육 연구동향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5-05-26 2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