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대만연구(台灣研究)’에 대한 연구의 지역별 분포



316_국정운영_이광수_중국의-‘대만연구(台灣-究)’-연구의-지역별-분포.jpg



출처: 中國知網(cnki.net)



중국에서 대만연구를 주로 하는 연구기관 가운데 베이징의 사회과학원 대만연구소, 상하이시정부의 대만연구소, 푸젠성 샤먼대학의 대만연구소가 대표적이다. 연구소 소속 학자들은 대만을 방문하여 정보와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보고서를 작성한다. 이를 통해 당과 정부의 대만정책수립에 있어서 자문기구 역할을 하면서 정책결정과정에 참여한다. 대만학자 홍루밍(洪儒明)은 베이징 연구소를 정책의 강경과 온건이라는 성격에 따라 주전파(主戰派), 상하이는 주화파(主和派), 샤먼대는 실용파(主降派)로 분류하기도 했다.


수도 베이징에는 중국사회과학원 대만연구소 외에 해협양안관계연구센터(해연중심), 전국대만연구회, 개혁개방논단, 평화발전연구센터 등 당··군 연구기관이 총집결해 있다. 중국의 공식입장을 대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대만독립이나 양국론과 같은 분리주의 노선에 대해서 강경한 반대 입장과 무력통일 제안 등 급진적 입장을 자주 제기한다. 대만정책 싱크탱크로서 베이징 주전파참모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상하이는 양안의 관계개선의 초석을 다졌던 해협양안관계협회(해협회) 초대 회장 왕다오한(汪道涵)의 영향이 많이 작용했다. 상하이시정부의 재정지원을 받는 대만연구소, 대만연구회, 아태연구소 등이 있다. 특히 상하이 대만연구소에서 제안한 양안관계 원칙인 평등하게 협상하여, 통일을 함께 논의하자2000년대 초반 민진당과의 접촉 및 교류 전략으로 내세웠는데 이는 상하이를 주화파로서의 인상을 심어주었다. 흔히 경제중심지로 일컫는 상하이는 대만경제인이 다수 존재하고, 대만의 중국 직접투자 규모도 적지 않다.


대만과 해협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고 있는 푸젠성은 지리적 근접성 이외에 대만인구의 7-80%가 푸젠성 이주민의 후손, 푸젠어를 모태로 하는 대만어의 사용 등 지리, 혈연, 문화적 동질감이 강하게 존재한다. 따라서 푸젠성의 학자들의 연구분석과 대만정치경제에 대한 해석능력은 베이징이나 상하이에 비해서 다양하며 실용적 접근을 주로 한다. 즉 정치적 차이를 강조하거나, 민족주의적 대응에 치우치지 않는다. 샤먼대학 대만연구소는 이곳의 대만연구중심이다. 언어, 풍속, 문화 이외에 대만의 여야 정치경제인물네트워크에 대한 연구가 충실히 되어있어 여타 싱크탱크에 비해 우월하다. 정기학술지인 [대만연구집간(台灣研究集刊)]은 중국 대학에서 유일하게 국내외를 대상으로 공개 발행하는 대만연구학술지이다.

 

대만연구에 대한 검색은 cnki.net 에서 台灣研究를 검색어로 20180616일 진행했다. 지역별 통계를 보면 북경이 11개 문헌 출처 총18,494편으로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복건(푸젠)성이 33,651편이다. 상하이는 자료검색이 되지 않는데 외부로 공개되지 않는 내부 열람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키워드 분석으로는 대만, 대만지구, 대만해협과 같은 지역범주가 가장 많고, 대만문제, 양안관계, 비교연구, 대륙, 중국대만과 같은 정치영역에서의 접근이 다음이며, 계시, 발전, 교훈과 같은 대만연구에서 학술적인 모색을 시도하려는 내용이 세 번째이다. 이러한 연구 경향을 통해 대만연구가 지역별로 특색 있고, 주제별로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보고서의 내용은 중국인문사회연구소의 지식생산이며 인용 시 자료원을 명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34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4-3-31] 2013년도 중국통계연감발표 2012년 중국 출판도서 수의 지역별 분포와 특징 file 서상민 2014-08-04 4551
34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4-2-33] 2012년 중국 사회 중대 사건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4-08-18 4531
34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4-4-24] 政府企业化 企业家城市관련 논문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4-08-19 2910
339 [현대 중국 지식지형 리포트: 2014-5-32] 공자학원 연구 지식지형 file 최은진 2014-08-20 5378
33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4-1-37] 중국 화인문학의 연구동향 file 박영순 2014-08-22 2985
33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4-3-32] 2014년도 중국 500대 민영기업의 지역별 분포와 특징 file 서상민 2014-08-25 3407
336 [현대 중국 지식지형 리포트 : 2014- 5-33] 문화소프트파워 담론 지식지형 file 최은진 2014-09-22 4033
33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4-4-25] 智能城市 관련 논문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4-09-22 2964
33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4-1-38] 문화소프트파워의 연구동향 file 박영순 2014-09-22 2945
33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4-4-26] 国际城市 관련 논문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4-10-15 2908
332 [현대 중국 지식지형 리포트 : 2014- 5-34] 상하이 인터넷 사용자 지역지형 file 최은진 2014-10-20 4674
33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4-1-39] 화인디아스포라문학사단의 분포와 특징 file 박영순 2014-10-20 3773
33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4-3-33] 2014년 중국대학의 지역별 우수학과 분포와 특징 file 서상민 2014-10-21 5691
32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4-2-34] 2012년 중국 부패 척결 사건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4-10-21 3251
32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4-4-27] 国际社区 관련 논문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4-11-22 3154
327 [현대 중국 지식지형 리포트 : 2014- 5-35] 공자학원 담론 매체 지역지형 file 최은진 2014-11-24 4544
32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4-2-35] 2012년 중국 ‘호랑이급’ 부패 간부의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4-11-24 5846
32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4-3-34] 2014-2015년도 중국 대학원교육의 지역별 경쟁력 file 서상민 2014-11-25 7885
32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4-1-40] 화인 디아스포라작가 가오싱젠의 네트워크 file 박영순 2014-11-27 3158
32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4-4-28] 지역별 新型城市化建设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4-12-22 3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