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번역가의 시대별 출신지 분포현황




375_지식담론_김주아_중국번역가의-출신지-분포현황(수정1) (1).jpg




    중국에서 60여명의 학자들이 참여하여 『중국의 번역가 연구(国翻译)』(총3권)을 출판하였다.


  “최근 100여년 동안 중국 번역사연구는 문학 번역과 문학번역가를 위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번역사(飜譯史) 연구의 깊이를 더하기 위해 연구분야 확대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번역 사료와 번역가 연구는 중국사회발전은 물론 문화와 경제, 과학기술의 발전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동안 번역사에서 소홀히 다루거나 역사적으로 드러나지 않았던 중요한 사료들을 정리함으로써 문학번역사(文學飜譯史) 위주에서 벗어나 사상문화교류사(思想文化交流史)를 중심으로 중국의 번역 역사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본 고에서 다루는 번역사의 연구대상은 번역작품보다는 번역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는 번역가야 말로 시대의 사명과 사회적 책무를 담당하는 인물이기 때문이다.


『중국의 번역가 연구(国翻译)』는 고대에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대표적인 번역가 93명을 자세하게 소개하고 있다. 그 중에는 许渊冲, 余光中과 같이 생존하는 인물도 포함되어있다. 이들 번역가들은 중국의 종교와 문학, 과학기술과 사회과학분야의 서적을 번역한 인물들로 구성되어 있다.之、庄智象



  이 책은 古代편(고대-청말)과 民國편(1911~1949), 當代편(1949~현재) 총 세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국의 근대사는 1840년 제1차 아편전쟁을 기점으로 1919 5·4운동에 이르기까지의 기간으로 책에서는 고대편에 근대가 포함되어 있다. 책에 소개된 인물을 바탕으로 중국 번역가의 시대별 출신지 분포현황을 지식 지도로 만들었다.



  시대를 막론하고 가장 많은 번역가를 배출한 지역은 강소성과 절강성이다. 중국이 처음 문호를 개방한 지역이 동남연안지역이었기 때문에 이들 지역에서 번역가들이 많이 배출되었다. 때문에 이들을 口岸者라고 따로 분류해서 부르기도 한다.


  고대에 상대적으로 외국인 출신의 번역가가 많은 이유는 고대에는 불교 경전과 관련된 종교 번역이 대부분으로 외국출신 승려들이 직접 한어(漢語)로 번역하여 불교를 전파했기 때문이다. 이후에도 중국 역사상 영향력을 미친 많은 서양의 선교사 출신 번역가들이 있었지만, 이들은 대부분 중국인과 협업하는 방식으로 번역을 하였다. (서양 지식인이 구술한 내용을 중국 지식인이 중국어로 집필하고 윤색하는 방식)


  고대에서 민국시기까지는 동남연안지역 출신의 지식인(번역가)이 외부의 지식을 전달하는 창구역할을 맡았다. 이 시기 번역은 대부분 과학기술과 사회과학 위주로 이루어졌다. 반면, 현대로 오면서 문학작품의 번역 활동이 활발해졌으며, 번역가의 출신지도 동남연안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전국적으로 확대된 것을 알 수 있다.


  현대사회는 과학기술의 발달로 교통과 통신이 편리해져 지식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지고, 전달 방식도 편리해져 쉽게 접근할 수 있지만, 당대 이전까지만 해도 지식정보의 공유는 특권계층의 전유물이었다. 그러므로 고대(근대포함)와 민국시기의 중국번역가의 삶을 통해 이들의 작품과 사상을 들여다봄으로써 중국의 지식의 흐름을 읽을 수 있다.




보고서의 내용은 중국인문사회연구소의 지식생산이며 인용 자료원을 명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40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8-1-80] 중국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의 지리적 분포 file 박영순 2018-11-21 4797
40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4-5-28] 쉬지린 연구매체의 지역지형 file 최은진 2014-02-24 4755
40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6-3-50] 2015년 세계은행 기준 중국의 지역별 빈곤인구수와 빈곤인구 비율 file 서상민 2016-10-28 4751
399 [현대 중국 지식지형 리포트: 2011-3-13] 기업 기술센터 지역 분포 file Angela 2011-11-02 4750
39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4-8] 지역별 공간생산 관련 논문 수량 file 박철현 2012-09-28 4737
39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1-64] 양대 유역 주요 문학가의 지역별, 시대별 분포 file 박영순 2017-05-26 4724
396 [현대 중국 지식지형 리포트: 2014-5-30] 인터넷 지식인 연구의 주요 연구 지역지형 file 최은진 2014-05-22 4717
39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4-2-32] 2010년 중국 사회 중대 사건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4-07-23 4703
394 [현대 중국 지식지형 리포트 : 2014- 5-34] 상하이 인터넷 사용자 지역지형 file 최은진 2014-10-20 4662
39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0-6-03] 중국의 화교화인 연구현황 file 김주아 2020-02-26 4658
39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6-3-49] 2016년 중국의 지역별 인간개발지수(HDI: Human Development Index)와 그 특징 file 서상민 2016-09-26 4657
39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4-11] 지역별 城市空间结构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2-12-26 4656
39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3-2-21] 중국 당교 및 당교 연구현황의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3-07-25 4647
38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8-1-81] 중국 국가급 비물질문화유산의 지리적 분포 file 박영순 2018-12-24 4646
38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4-5-27] 장삼각여행 연구 지역지형 file 최은진 2014-01-23 4643
38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1-2-9] 중국 11기 전인대 제5차 회의 지역별, 부문별 간보(簡報) 발행 현황 file 피서개향 2012-05-26 4631
38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1-2-6] 2010년도 중국 교육부 인문사회과학연구 국제문제 지원과제 현황 file 피서개향 2011-11-02 4631
38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3-4-12] 지역별 国企改制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3-01-29 4630
38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9-4-77] 지역별 小产权房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9-04-23 4623
38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8-1-77] 중국 100대 성(姓) 발원지의 분포와 특징 file 박영순 2018-08-26 4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