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ID-19 이후 2020년 상반기 중국 지역별 GDP 현황

 

 

395_산업경제_서상민_COVID-19-이후-2020년-상반기-중국-지역별-GDP현황.jpg

 자료출처: 中国:国家统计局 2020年上半年国内生产总值(GDP) 初步核算结果

 

 

중국의 경제가 빠르게 회복하고 있다는 적지 않게 들리고 있다. 주요 도시들에서는 코로나19 이전의 일상생활을 회복하고 있으며, 공공장소에서도 사람들이 몰리고 있다고 한다. 최근 미국은행 JP Morgen은 중국의 2020년도 경제성장 전망치를 4월 1.3%로 전망했으나, 지난 8월에는 2.5%로 두 배로 높게 조정하여 발표하기도 하기도 하였다. Wall가의 많은 미국은행들이 비슷한 전망을 내놓았다. 코로나19가 중국경제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전망하는 뉴스도 있다. 미국의 브루킹스연구소나 피터슨 국제경제정책연구소는 COVID-19가 중국경제와 미국경제의 격차를 줄이게 될 것이며, 중국과 3위의 일본과의 격차는 늘어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반면 중국의 GDP의 1/5 정도가 해외시장에 의존하고 있어 COVID-19로 인해 미국과 유럽의 경기가 아직 정상화되지 않는 가운데, 중국경제의 성장의 한계가 있는 것이 아닌가라는 조심스러운 전망도 같이 제기되기도 한다.

 

중국 전체 경제는 상당한 정도로 미국에 접근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욱 그렇게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1인당 GDP는 여전히 멕시코 수준에 있고, 지역간 격차 또한 크다는 점에서 내순환을 통한 지역간 소득격차를 해소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위 지도는 COVID-19 이후 중국의 지역별 GDP 성장율을 나타내고 있다.  중국 지방정부가 발표한 통계에 기반하여 작성한 위 그래프는 2020년 상반기 GDP 증가의 절대 액수를 보여주고 있다. 广东이 역사 가장 많은 액수의 증가를 보이고 있고, 江苏, 山东, 浙江이 그 뒤를 잇고 있다. 반면 西藏, 青海, 宁夏 등 GDP 는 광동의 1/40 수준에 머물고 있다.

 

전년인 2019년과 대비한 한 증가율을 보면, COVID-19 이후 가장 큰 증가율 보인 지역은 역설적이게도 西藏이 5.5%, 新疆이 3.3%으로 조사되었고, COVID-19로 가장 경제적 타격이 큰 지역은 예상이 어렵지 않는 湖北 지역이었다. 湖北는 전년 대비 -19.3%을 GDP 를 보이고 있다. 湖北 다음으로는 黑龙江이 -4.9%, 辽宁 -3.9%, 内蒙古 -3.8%의 GDP 증가를 보이고 있는데, 이들 지역은 COVID-19가 상대적으로 심했던 지역인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广东은 -2.5%, 上海 -2.6, 北京 -3.2%을 기록하고 있다.

 

 * 본 보고서의 내용은 중국인문사호연구소의 지식생산이며 인용시 자료원을 명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38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4-31] 지역별 积分入户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5-04-21 3019
38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4-34] 지역별 绅士化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5-07-28 3020
38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0-4-87] 지역별 全球产业链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20-10-22 3027
37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4-38] 지역별 新东北现象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5-11-24 3033
37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1-2-92] 중국의 ‘한중교류(中韩交流)’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21-07-26 3038
37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1-41] 국학 교육의 연구 상황 file 박영순 2015-01-19 3040
37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06-16] 중국의 ‘조선족(朝鮮族)’관련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김주아 2022-08-22 3044
37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1-66] 송대 문학가의 지역별 분포 file 박영순 2017-07-26 3049
37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4-4-28] 지역별 新型城市化建设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4-12-22 3050
37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5-65] 소수민족교육연구 지식지형 file 최은진 2022-03-22 3058
37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8-4-64] 지역별 城中村治理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8-03-26 3060
37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4-60] 지역별 三社联动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7-10-26 3064
37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6-3-47] 1949년 이래 중국최고위 당정지도자 출신지역별 분포 file 서상민 2016-07-08 3068
36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4-57] 지역별 城市公共性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7-07-17 3070
36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3-1-28] 상하이의 출판관련업 개황 file 박영순 2013-10-23 3072
36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6-4-40] 지역별 公共池塘资源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6-01-25 3074
36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1-65] 명·청시기 진사의 지역별 분포 file 박영순 2017-06-26 3077
36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0-1-94] 명대 광동지역의 문인결사 분포 file 박영순 2020-09-26 3078
364 [현대 중국 지식지형 리포트 : 2015- 5-37] 공자학원과 국가문화안전 담론 지역지형 file 최은진 2015-02-17 3080
36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0-4-85] 지역별 健康码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20-05-13 3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