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농(三農)문제 연구 지식지형

 

 420_지식담론_삼농문제-연구지역지식지형.jpg

 


 출처: CNKI참고

 

  CNKI에서 삼농(三農)문제 주제로 석박사논문을 검색하면 총 295편의 논문이 검색된다. 삼놈문제는 학술잡지를 통한 연구성과도 많이 발표되지만 학문적 연구의 지형을 살펴보는데는 석박사 논문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파악하고 검토의 범위를 좁혀 살펴본 것이 위의 지도이다. 

 

 삼농문제는 도시와 농촌의 격차로 인한 농촌의 문제를 지칭하는 것으로삼농은 농촌문제, 농민문제, 농업문제를 의미한다. 도시와 농촌의 격차는 근대에 전반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이지만 특히 개혁개방이후 도시와 동부에 편중된 발전으로 농촌의 문제가 더 심각해졌다. 농업생산성이 낮고 국제 경쟁력이 떨어지는 농업문제, 도시와 농촌의 소득격차로 대변되는 농촌문제, 농민들의 소득감소로 도시로 불법 유입되는 농민문제가 발생했다. 중국의 농촌인구는 중국 전체인구의 3/4를 차지할 정도이므로 농촌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삼농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농업문제는 첫째 농업구조가 단순 식량생산이 아닌 품질의 향산과 특산품의 생산이라는 구조를 변화시켜서 해결해야 한다는 것과 농업기술을 향상시켜야 한다는 것이 제기 되었다. 농촌문제는 빈곤화를 탈피하기 위해 농민의 소질개발과 같은 농민에 대한 문제 외에 국가와 지방 기업이 농촌에 투자를 통해 발전을 도모한다는 것이 제기 되었다. 마지막으로 농민문제는 농민에게 손실을 전가하는 농촌의 시장시스템을 개선하고 향진 도시화를 추진해서 농민에게 안정된 소득증대를 보장하고 농민공의 문제를 해결할 호적제도의 개선 등이 요청되고 있다. 특히 원톄쥔溫鐵軍)은 서구의 논리가 아닌 성진화를 통해 농촌 가운데 지역을 개발해 내수를 진작시켜 농민의 생활 여건을 향상시키는 것 등을 제기했다. 삼농문제의 해결의 과정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실천 방식에 대해서는 향후 깊이 있는 고찰이 필요하다. 


연구의 지역별 지형을 보면  호북 24 ,  길림 20 ,  강소 19 , 섬서 19 , 산동 18 , 호남 18.,   산서 1 4, 중경 14, 북경 13, 하북 13,  안휘 13,  사천 13, 복건, 12, 천진 10, 내몽고 10, 요녕 9, 강서 9, 절강 8, 하남 7, 광서 7, 광동 6, 상해 5, 흑룡강 4, 운남 3, 감숙 3, 귀주 2, 청해1, 신강 1, 해남 0, 서장 0, 영하 0으로 나타났다. 호북과 길림, 강소 등 농업지역인 곳에서 전반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고 상대적으로 상해 등은 연구가 적었던 것을 알 수 있다. 

 

    가장 많이 연구된 기관은  吉林大学 15, 华中师范大学 13,  南京农业大学 8, 天津大学 6,  西北农林科技大学 6 ,湘潭大学 6,  山东大学 6,  福建师范大学 6 편이었다.

.

 연구는 2005년에서 2007년까지 집중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고 2014년과 2015년에 다시 증가했다, 연구의 양적 증감 추이는 중국의 농촌문제와 관련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보고서의 내용은 중국인문사회연구소의 지식생산이며 인용 시 자료원을 명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44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3-16] 지역종합발전지수 file JoonHwan 2012-07-04 4001
44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4-6] 2010 과학기술촉진 사회경제 평가 file 유정원 2012-07-23 3988
44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1-13] 2009년 지역별 국내, 수입 TV연속극 방영 상황 file 박영순 2012-07-23 4595
43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3-17]중국 각 지역 전력소비량 file JoonHwan 2012-08-14 4213
43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2-5-12] 문화적 세계화 담론 지역별 지형 file 최은진 2012-08-16 5413
43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4-7] 2011년 과학기술 진보 통계 검측 지수 file 유정원 2012-08-18 3889
43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1-14] 2009년 지역별 국내, 수입 TV애니메이션 방영 상황 file 박영순 2012-08-21 3967
43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1-15] 중국작가협회 회원의 출신지역 분포 file 박영순 2012-09-04 4093
43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2-5-13] 사회주의민주담론 지역별 지형 file 최은진 2012-09-14 5606
43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2-10] 중국정치학회 이사진의 현직과 출신대학의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2-09-28 5307
43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4-8] 지역별 공간생산 관련 논문 수량 file 박철현 2012-09-28 4737
43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2-5-14] 약세군체담론 지역별 지형 file 최은진 2012-10-17 5490
43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1-16] 2009년 전국 각급 종합성 신문 출판 현황 file 박영순 2012-10-17 4528
42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2-11] 중국 대학, 대학원 사상정치교육전공 개설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2-10-26 5035
42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4-9] 지역별 文化研究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2-10-30 5490
42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1-17] 2000년대 ‘인터넷문학’ 학위논문의 지역별 분포 file 박영순 2012-11-13 4324
42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2-5-15] 하버마스의 '공공영역' 담론의 지식 지형 file 최은진 2012-11-22 5059
42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4-10] 지역별 老工业城市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2-11-26 5339
42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2-12] 정치학행정학 전공 개설 대학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2-11-27 6441
423 [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2-13] 중국공산당 제18차 당대표 직능 및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2-12-22 5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