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2007년 중국 각 지역 대중형 공업기업 과기활동을 위해 확보한 금융기관 대출금액

 

18_산업경제_묘우철_2001_2007년-대중형-공업-과기활동을-위한-금용기관-대출금액-2-2.jpg

자료출처: 중국 지역 혁신능력 보고서 

 

본 지도는 2001년부터 2007년 까지 중국 각 지역의 대중형 공업기업이 과학기술 활동을 위하여 금융기관으로부터 확보한 대출금액을 보여주고 있다. 2001년부터 2007년 사이에 중국 전 지역에서 대체적으로 대출금액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1년 대중형 기업들이 과학기술 활동을 위하여 금융기관 대출을 제일 많이 확보한 지역으로 광동성이 11.85억으로 1, 산동성이 11.75억으로 2위 및 상해시가 11.60억 원으로 3위를 차지했으나 2002년에는 강소성이 18.71억으로 1, 산동성이 15.43억으로 2위 및 광동성이 14.49억원으로 3위를 차지했다. 2003년에는 광동성이 26.71억으로 1, 강소성이 24.35억으로 2위 및 안휘성이 22.58억으로 3위를 차지했으며 2004에는 광동성이 30.92억으로 1, 강소성이 25.53억으로 2위 및 산동성이 18.26억으로 3위를 차지했다. 2005년에 들어서서는 강소성이 43.09억으로 1, 산동성이 24.49억으로 2위 및 광동성이 20.67억원으로 3위를 차지했고 2006년에는 강소성이 60.05억으로 1, 안휘성이 22.83억으로 2위 및 산동성이 22.81억으로 3위를 차지했다. 2007년에는 강소성이 67.29억으로 1, 산동성이 32.30억으로 2위를 차지했고 3위는 절강성 이었고 대출금액은 26.66억 원이었다. 따라서 강소성, 산동성 및 광동성은 꾸준히 성장 추세를 보였을 뿐만 아니라 과학기술 활동을 위하여 많은 금융기관 대출을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년 동안에 대출 제일 많이 받는 지역에 금액수가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특정 지역에도 대출 금액이 증가하였다. 예를 들면 복건성은 2001년의 3.80억원에서 2007년에는 15.15억원으로 증가하였고 요녕성도 2.85억원에서 2007년의 4.77억원으로 증가하였다. 이외에도 대부분 지역에서 모두 증가추세를 보였다. 예외적인 지역도 있었는데 북경 지역에서는 2001년의 1.26억에서 2006년에는 6.57억원으로 대폭 증가하였다가 2007년에는 0.53억원으로 하락하는 현상을 보였다.

2007년의 각 지역 대중형 공업기업 과기활동을 위한 금융기관 대출금액을 보면 강소성, 산동성, 절강성을 이어 광동성이 24.77 4, 안휘성이 22.85 5, 복건성이 15.15 6위 하남성은 13.75 7, 사천성이 9.99으로 8, 강서성이 6.36으로 9, 중경성이 6.08으로 10, 천진 이 5.64으로 99, 호북성이 4.96으로 12, 요녕성이 4.77으로 13, 흑룡강성이 4.76으로 14, 하남성이 3.45으로 15, 산서성이 2.91으로 16, 광서성이 2.66으로 17, 상해는 2.66으로 18, 내몽골이 1.75으로 19, 귀주성이 1.63으로 20, 섬서성이 11.57으로 21, 하북성이 1.16으로 22, 운남성이 1.14으로 23, 녕하는 1.08으로 24, 신강은 0.85으로 25, 북경이 0.53으로 26, 감숙성이 0.50으로 27, 길림성이 0.22으로 28, 청해성이 0.18으로 29위를 차지했다. 많은 대출을 받고 있는 지역이 있는 반면에 서장과 해남지역은 과기활동을 위해서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전혀 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본 보고서의 내용은 중국인문사회연구소의 지식재산이며 인용시 자료원을 명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48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3-72] 중국 지역별 박물관 참관 인원수 현황(2022년 중국통계연감) file 서상민 2023-09-26 789
48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6-22] 중국의 ‘국제학교’ 관련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김주아 2023-06-22 806
48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4-100] 지역별 工业考古学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23-06-13 815
47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1-110] 동림서원(東林書院)의 특징과 연구 상황 file 박영순 2023-07-21 888
47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6-23] 중국의 지역별 재중 유학생 통계 file 김주아 2023-08-24 897
47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5-70] 도시와 향촌 융합 연구 지역지형 file 최은진 2023-07-21 902
47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2-99] 중국의 소셜미디어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23-05-23 935
47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5-69] 량수밍(梁漱溟) 연구 지식지형 file 최은진 2023-05-24 958
47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3-71] 중국의 지역별 신에너지자동차 등록 현황(2022년 기준) file 서상민 2023-08-21 973
47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3-70] 중국 지역별 양로기관 현황(2022년 통계) file 서상민 2023-06-28 988
47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5-68] 중화민족 연구 지식지형 file 최은진 2023-03-22 1037
47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2-98 중국의 전자정부 사이트의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23-03-22 1119
47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6-21] 중국의 '화인여성'에 관한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김주아 2023-04-22 1144
46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6-20] 중국의 MZ세대에 관한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김주아 2023-02-23 1266
46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4-98] 지역별 马六甲海峡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22-12-21 1275
46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1-109] ‘존고비금(尊古卑今)’ 관념의 흐름과 특징 file 박영순 2023-03-23 1290
46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2-97] 중국의 ‘대만 인터넷부대(网军)’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23-01-25 1303
46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4-99] 지역별 回迁房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23-02-26 1381
46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6-19] 중국의 ‘인공지능’ 관련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김주아 2022-12-21 1384
46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5-67] 페이샤오통(費孝通) 연구 지식지형 file 최은진 2022-11-28 13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