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지식인 연구의 주요 연구 지역지형

 

 

140_지식담론_최은진_인터넷지식인연구지역지형.jpg

 

 

 

자료출처:CNKI中國知網 http://epub.cnki.net/grid2008/index/ZKSHKX.htm  

 

 

 

    

  위 지도는 CNKI에서 인터넷과 지식인을 병합하여 전문을 검색하여 찾은 연구논문을 토대로 그려 본 연구의 지역지형도이다.  인터넷을 전문으로 하는 연구는 20여만개가 넘을 정도이며 인터넷이 보급된 1990년대를 시점으로 조금씩 출현하다가 2000년이래 급증하였다. 그러므로 학술연구의 주제로 인터넷에 대한 연구는 아직은 초보적이라고 볼 수 있다.  다양한 키워드로 연구가 되고 있지만 지식인을 병합하여 찾아보았을 때 많지는 않지만 공동연구자를 한명의 연구자로 하여 78개의 논문으로 산정하였다. 연구자의 소속기관의 지역분포로 보았을 때 가장 많이 연구된 지역은 북경(10), 강소(9), 호북(8), 상해(7), 산동(6), 절강(4), 호남(4), 사천(4), 길림(3), 광동(3), 광서(3), 섬서(3), 산서(2), 흑룡강(2), 복건(2), 요녕(1), 안휘(1), 강(1), 중경(1), 귀주(1), 감숙(1), 영하(1), 해남(1), 천진(0), 하북(0), 내몽고(0)였다. 그러므로 연구지역은 북경이 가장 많이 연구되는 지역이고 강소, 상해, 절강 등 대학이 많이 소재한 지역이 주로 연구지역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호북과 호남, 산동과 사천, 길림 등 지역에서 인터넷 지식인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다는 점과  광동이 상대적으로 연구가 적게 이루어진다는 점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한편 관련 논문을 많이 작성한 기관의 순위로 매기고 그 수에 따라 막대그래프로 그려서 주요연구기관으로 살펴보았다. 山东大学 )(4),南京大学  (3), 吉林大学(3), 华中师范大学政治学研究院 (2), 华中科技大学(2),  华东师范大学中国现代思想文化研究所(2), 陕西师范大学(2),  中国传媒大学电视与新闻学院(2),  中国人民大学人口与发展研究中心 (2),  中国社会科学院研究生院 (2),  浙江师范大学法政经济学院 (2),  南京师范大学(2)으로 나타났으며

  연구자는 절강사범대학의 徐艳가 가장 많은 연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논문은 文化资本的占有与缺失——兼论知识分子社会地位的变迁 (2004), 大众文化时代知识分子的当下困境与角色焦虑 (2005) 이었다. 

2012년 6월 광동의  暨南大学의 논문이 媒介知识分子与公共关怀研究로 인터넷매체 지식인인의 공공성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것은 공공영역 형성의 매체로서 인터넷이 지식인의 활동과 어떠한 관련을 지니는가를 중시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중국에서 공공영역의 가능성을 보이는 인터넷에 대해 중국지식인의 인식과 활동에 대한 연구가 점차 늘어나게 될 것으로 추측된다.  

 

 

* 본 보고서의 내용은 중국인문사회연구소의 지식생산이며 인용 시 자료원을 명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6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8-3-61] 개혁개방 40 중국 각 지역별 경제성장 속도 현황 file HK연구사업단 2018-08-31 3155
16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4-39] 지역별 重庆模式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5-12-22 3153
16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3-4-17] 지역별 农民工子女教育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3-06-18 3153
15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6-2-48] 중국의 여론동향조사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6-03-24 3151
15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4-1-40] 화인 디아스포라작가 가오싱젠의 네트워크 file 박영순 2014-11-27 3148
15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4-4-27] 国际社区 관련 논문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4-11-22 3146
15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8-4-65] 지역별 旧工业区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8-04-17 3143
15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5-51] 중국 여성사연구의 지역지형 file 최은진 2017-09-22 3142
15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1-104] 두본(杜本) 『곡음(谷音)』의 인물과 지역분포 file 박영순 2022-05-16 3136
15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8-2-68] 중국의 ‘영도제도(领导制度)’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8-03-26 3134
15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8-4-67] 지역별 社区抗逆力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8-06-24 3129
15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4-58] 지역별 城市棚户区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7-08-23 3128
15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2-39] 중국의 양안관계 연구동향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5-04-21 3126
14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4-33] 지역별 城市地标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5-06-22 3124
14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2-63] 중국의 양안교류 연구동향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7-09-20 3115
14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4-1-31] 2000년대 ‘저층’문제에 관한 학술연구 상황 file 박영순 2014-01-23 3110
14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8-2-67] 중국 대학의 맑스주의학원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8-02-27 3101
14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3-4-16] 지역별 农民工市民化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3-05-22 3099
14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1-2-94] 중국의 ‘대만문제’ 연구의 지역별 분포 광수 2021-11-26 3095
14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6-2-47] 중국의 대만선거 연구동향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6-01-25 30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