上海社区 관련 논문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上海社区 관련 논문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jpg

자료출처: CNKI

 

   1990년대 들어서 중국사회 기층정치질서로서 제기된 사구(社区)는 해당 지역의 사회정치적 조건에 맞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중국 국가의 입장에서 볼 때 행정권력의 사회침투를 가장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는 형태는 상해모델이라고 얘기된다.

   위 지도는 CNKI에서 전국을 대상으로 해서 上海社区란 검색어로 검색한 결과를 보여준다. 우선 이 검색어 "篇名", 즉 제목에 들어가는 논문을 1992~2014년을 대상으로 해서 검색할 결과, 모두 247건이 검색되었다.

   이 검색결과를 해당 논문이 발표된 잡지의 주관단위의 지역을 많은 순서대로 분류해보면, 상해 114, 북경 50, 하북 14, 흑룡강 10, 사천과 절강 각각 6, 산동과 길림 각각 5, 호남 4, 호북 천진 강소 복건 각각 3, 기타 안휘 중경 산서 요녕 운남 섬서 등이 있다.

   주목해야 할 사실은, 상해가 114건으로 전체의 46.15%를 차지한다는 것이다. 물론 상해사구에 관한 검색이니까 상해 지역의 잡지가 가장 많은 검색결과를 차지한다고 볼 수도 있지만, 이는 동시에 기존의 단위체제를 대체하여 기층의 거버넌스를 구축할 형태로서 제기된 여러 지역의 사구모델 중에서 상해사구 모델이 중국 정부가 선호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가장 해당 지역인 상해에서 가장 많이 논의되는 것이라도 해석할 수도 있다. 즉 국가의 기층거버넌스 재구성이라는 중대한 주제라는 성격으로 볼 때, 중앙정부의 지원 하에 상해지역에서 자신의 지역에 대한 논의가 활발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북경이 2위를 차지한 것은 중국 정치에서 북경이 국가 전반의 정책을 수립하는 중심지로서의 위상을 말해주는 것이고, 동시에 북경이 많은 대학과 연구기관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또 하나 중요한 것은 상해사구에 대한 논의는 상해에서 가장 활발하지만 동시에 중국 전역에서 논의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상해사구 모델이 가지는 하나의 참조틀(reference frame)으로서의 성격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즉 비록 자신의 지역에서 건설하는 사구가 상해모델과 동일할 수는 없지만 중앙정부가 단위체제를 대체할 가장 유력한 모델로 상정하고 있는 것이 상해모델이기 때문에, 자신의 지역에서 적합한 사구모델을 탐색하는 과정에서도 판단의 기준으로서 상해모델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 본 보고서의 내용은 중국인문사회연구소의 지식생산이며 인용 시 자료원을 명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40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6-4-50] 지역별 老工业区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6-12-27 2955
40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8-4-63] 지역별 社会管理 城市管理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8-02-15 2955
40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6-4-51] 지역별 海绵城市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7-01-17 2960
39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2-44] 중국의 자유주의 연구 성과의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5-10-22 2967
39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4-1-37] 중국 화인문학의 연구동향 file 박영순 2014-08-22 2975
39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2016-5-47] 서원정신 학술 지식지형 file 최은진 2016-12-26 2977
39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4-59] 지역별 钉子户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7-09-18 2979
39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6-5-46] 중국 제 3의 길 학술지역 지형 file 최은진 2016-10-26 2980
39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3-4-18] 지역별 户籍制度改革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3-07-26 2983
39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6-2-50] 중국의 ‘대만정체성’ 연구동향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6-06-24 2984
39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8-4-62] 지역별 全球生产网络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8-01-28 2990
»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4-4-22] 上海社区 관련 논문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4-06-21 2990
39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2-59] 중국의 대만매체 연구동향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7-04-25 2995
38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6-1-57] 중국문학비평용어4: ‘別材·別趣’ file 박영순 2016-08-23 3008
38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1-1-100] 문학지리(文學地理)에 관한 연구 상황과 특징 file 박영순 2021-09-25 3010
38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6-4-41] 지역별 国家级新区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6-02-21 3011
38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0-6-05] 공자학원관련 연구의 지역별 분포 김주아 2020-06-24 3011
38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4-4-21] 社区模式 관련 논문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4-05-22 3015
38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8-2-66] 중국의 국무원대만판공실(國臺辦) 연구동향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8-01-25 3015
38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4-31] 지역별 积分入户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5-04-21 3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