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대만 자유시보自由時報 연구의 지역별 동향




429_국정운영_이광수_중국의-‘대만자유시보’-연구의-지역별-분포.jpg





출처: 中國知網(CNKI)




자유시보는 대만의 4대 신문 가운데 독자층이 가장 많은 신문으로 알려져 있다. 대만의 언론자유는 높은 수준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21년도 국경없는 기자회가 발표한 세계언론자유지수에 의하면 한국 다음으로 43위로 아시아 2번째 순서에 위치한다. 대만 정치대학의‘대만선거 및 민주화조사연구(台灣選舉與民主化調查研究, TEDS: Taiwan election and democratization study) 2016’ 조사항목 가운데 열독율로 구분하면, 자유시보 20%, 빈과일보蘋果日報 17%, 연합보聯合報 10%, 중국시보中國時報 4% 로 이상이 4대 신문이다.


대만의 신문은 1996년 대만총통 직선제 이후 정치적 입장이 각기 차이가 나는 언론 양극화 현상이 나타난다. TEDS 2016에 의하면 자유시보 독자 60%는 민진당, 대만단결연맹, 대만기진, 시대역량 등의 범녹 정당을 지지하며, 중시와 연합의 독자 60%는 국민당, 친민당, 신당 중심의 범람 정당을 지지한다. 2021년 6월 폐간된 홍콩의 빈과일보의 자매지로서 대만에서 두 번째 열독율을 보이는 빈과일보 Apple Daily는 40%가 범녹 정당 지지하며, 30%가 범람 정당을 지지하고, 30%는 중도적 입장을 갖고 있다는 점이 또 하나의 특징이다.


자유시보는 대만정체성을 내걸고, 통일보다는 대만독립을 강조하는 논조를 주로 보이고 있다.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 중국과의 교류 단절과 백신 기부에 대한 거부 기사를 다수 싣고, 미국이나 일본의 백신지원, 유럽 국가와의 방역협력을 강조하는 입장을 보인다. 때문에 중국의 입장에서는 자유시보를 대만독립의 전도사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다. 중국의 환구시보는 “가짜뉴스를 보도하는 자유시보” 2021년 7월 9일, “자유시보의 저속함을 폭로한다” 2021년 7월 19일 등의 기사를 통해 자유시보의 기사오 논조를 비판했다.

 

자유시보에 대한 중국 학계의 연구는 1990년대 후반 시작되고, 2008년 베이징올림픽 이후 본격적으로 진행되면서 연구 분량이 증가하다가, 최근에는 다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양안교류가 확대되었던 마잉주 정부 시기였던 2008 ~ 2016년, 그리고 대만독립 경향이 강한 차이잉원 정부 시기 초반인 2016 ~ 2018년에는 연구가 크게 증가했는데, 독립세력의 사상적 대변인 역할을 하는 자유시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 것으로 추측된다.

 

자유시보 연구를 주로 하는 기구의 지역적 분포를 보면 역시 대만연구를 주로 하는 복건과 북경, 상해 지역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보고서의 내용은 중국인문사회연구소의 지식생산이며 인용 시 자료원을 명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44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4-94] 지역별 普惠金融 金融科技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22-02-23 2699
»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2-95] 중국의 ‘대만 자유시보’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22-01-25 3164
44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1-102] 유민(遺民)에 관한 연구상황과 지역분포 file 박영순 2022-01-19 3310
439 [현대 중국 지식지형 리포트: 2021-6-13] 중국의 '한국문화'관련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김주아 2021-12-20 3377
43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1-4-93] 지역별 人类世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21-12-20 2658
43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1-1-101] 명대 복사(復社)의 과거등과(登科)의 지역 분포 file 박영순 2021-11-26 3161
43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1-5-64] 생태문명 학술연구 지식지형 file 최은진 2021-11-26 2767
43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1-2-94] 중국의 ‘대만문제’ 연구의 지역별 분포 광수 2021-11-26 3099
434 [현대 중국 지식지형 리포트: 2021-6-12] 2020년 제7차 인구 센서스_중국의 지역별 인구 분포 file 김주아 2021-10-21 7098
43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1-4-92] 지역별 边境团场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21-10-20 2594
43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1-2-93] 올림픽과 양안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HK+연구사업단 2021-09-30 2733
43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21-5-63] 삼농(三農)문제 연구 지식지형 file 최은진 2021-09-27 2749
43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1-1-100] 문학지리(文學地理)에 관한 연구 상황과 특징 file 박영순 2021-09-25 3014
42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1-6-11] 한국화교화인 관련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김주아 2021-08-25 2768
42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1-4-91] 지역별 支边青年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21-08-25 2635
42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1-2-92] 중국의 ‘한중교류(中韩交流)’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21-07-26 3038
42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1-1-99] ‘복고사조(復古思潮)’의 연구 상황과 지역분포 file 박영순 2021-07-23 3213
42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1-4-90] 지역별 健康码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21-06-23 2683
42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1-6-10] 중국거주 경외 인구의 지역별 분포 file 김주아 2021-06-22 3280
42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1-2-91] 중국의 국가급 빈곤현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21-05-27 3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