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대만 인터넷부대(网军)’ 연구의 지역별 분포





453_국정운영_이광수_중국의-‘대만-인터넷부대’-연구의-지역별-분포.jpg


출처: Cnki.net


인터넷부대는 인터넷과 모바일과 같은 온라인 공간에서 정부 혹은 정당과 같은 정치단체에 고용되어, 댓글과 같은 텍스트 자료와 동영상 자료를 제작하고 전파하여 여론을 변화시키거나 혼란스럽게 만드는 역할을 하는 네티즌을 지칭하는 용어다. 전문가 수준의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특정 대상을 감시하거나 내부 정보를 빼내는 해커(hacker)도 포함된다.


 

인터넷부대(網軍) 혹은 인터넷 특수경찰(网络特工, 網路特務, 網特), 넷수군(網路水軍)이라고 통칭하는데, 인터넷 평론원(网络评论员), 왕홍(網紅, influencer) 등의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댓글 개수에 따라 비용을 받기 때문에 우마오당(五毛党)으로 불린다. 우마오는 중국정부에 고용되어 정부 정책을 지지하거나, 반정부 네티즌을 비판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중국민족주의의 고조에 따라 자발적으로 정부정책을 옹호하고 전파하는 네티즌도 급속히 증가했다. 애국주의를 강조하며 공산당을 추종하는 현대적 홍위병이라는 의미에서 샤오펀홍(小粉紅)’과 돈을 받지 않고 자발적으로 활동하는 네티즌이라는 의미에서 즈간우(自干五) 용어로 표현되고 있다.


 

대만에서는 인터넷부대를 지칭하여 1450과 탈녹판이라는 용어가 있다. 1450 넷군(또는 약칭 1450)은 민진당을 두둔하는 넷수군을 풍자하는 대만의 인터넷 용어다. 차이잉원 정부 1기 시기인 2019년 소셜 플랫폼에서 여론대응 인력을 모집하기 위해서, 1450만 대만달러를 투입하였다고 야당인 국민당이 폭로하면서 유래된 용어다. 이는 당시 국민당의 총통대선 후보 한궈위에 대한 공격과 관련이 있다고 비난했다. 중국 네티즌들은 대만에서 조직된 1450 넷군 용어를 사용하여, 인터넷상에서 대만정부를지지, 옹호하는 네티즌을 1450이라고 부르고 있다. 또한 타뤼반(塔绿班) 용어도 사용되고 있다. 20218월부터 대만의 최대 인터넷 카페인 PTT에 등장한 유행어로 이는 본래 이슬람 원리주의 테러조직 탈레반(塔利班)의 중국어 발음을 차용한 것이다. 민진당 반대파인 범람진영 네티즌이 범녹진영 민주진보당과 그 지지자 또는 '인터넷부대'를 조롱하는 데 주로 쓰인다.


 

주제별로 주제별로 보면 인터넷전쟁, 인터넷 공격, 인터넷사령부, 인터넷정치 등의 정치군사적 측면과 , 인터넷공간, 인터넷안전, 정보안전, 안전방호, 군비경연, 인터넷 안전전략 등의 정보안전과 보호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양안대치의 정세를 반영하여 중국과의 대결입장을 보이는 민진당과 연결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시기별로 보면, 발표연도는 대부분 1999년과 2000년대 초가 인터넷 관련 연구의 시작 지점. 2010년대 이후 매년 비교적 발표된 연구가 조금씩 증가하기 시작하면서 매년 3~6편 발표되었고, 그중에는 20159, 202210편 등 발표가 상대적으로 두드러진 때도 있었다. 지역별로는 대부분 정치군사기구가 편재되어 있는 수도 북경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이 두드러지고, 상해, 광동성, 요녕성 등이 골고루 연구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보고서의 내용은 중국인문사회연구소의 지식생산이며 인용 시 자료원을 명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3-71] 중국의 지역별 신에너지자동차 등록 현황(2022년 기준) file 서상민 2023-08-21 916
47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1-110] 동림서원(東林書院)의 특징과 연구 상황 file 박영순 2023-07-21 817
47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5-70] 도시와 향촌 융합 연구 지역지형 file 최은진 2023-07-21 838
47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3-70] 중국 지역별 양로기관 현황(2022년 통계) file 서상민 2023-06-28 927
47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6-22] 중국의 ‘국제학교’ 관련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김주아 2023-06-22 750
47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4-100] 지역별 工业考古学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23-06-13 762
47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5-69] 량수밍(梁漱溟) 연구 지식지형 file 최은진 2023-05-24 903
47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2-99] 중국의 소셜미디어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23-05-23 888
47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6-21] 중국의 '화인여성'에 관한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김주아 2023-04-22 1090
47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1-109] ‘존고비금(尊古卑今)’ 관념의 흐름과 특징 file 박영순 2023-03-23 1165
47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5-68] 중화민족 연구 지식지형 file 최은진 2023-03-22 980
46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2-98 중국의 전자정부 사이트의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23-03-22 1061
46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4-99] 지역별 回迁房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23-02-26 1336
46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3-69] 중국의 지역별 출생률 현황(2022년 중국통계연감) file 서상민 2023-02-25 3609
46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6-20] 중국의 MZ세대에 관한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김주아 2023-02-23 1212
»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2-97] 중국의 ‘대만 인터넷부대(网军)’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23-01-25 1263
46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1-108] 정사초(鄭思肖) 『심사(心史)』의 주요 특징과 연구상황 file 박영순 2023-01-19 1344
46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3-68] 중국의 지역별 고등교육기관의 분포 현황 file 서상민 2023-01-04 1369
46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6-19] 중국의 ‘인공지능’ 관련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김주아 2022-12-21 1334
46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4-98] 지역별 马六甲海峡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22-12-21 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