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매체의 중국 보도 관련 연구동향 지역별 분포

 

 


291_국정운영_이광수_대만매체의-중국-보도-관련-연구동향-지역별-분포.jpg




자료출처: 中國知網(CNKI)


대만 매체 시장은 1987년 계엄 해제와 함께 정당 활동의 자유와 언론 자유 조치를 시작하면서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그러나 내성인과 외성인사이의 갈등, 통일과 독립에 대한 시각 차이, 국민당과 민진당 지지자의 대립, 양안관계와 중국에 대한 입장 차이 등으로 인해 정파적 색깔이 뚜렷하게 드러나고 있다. 정치 민주화로 인해 양적으로 많은 발전을 이루어냈지만, 질적으로는 기사 작성과 편집에 있어서 통일지향적인 남색 매체와 독립지향적인 녹색 매체 사이에 비교적 뚜렷한 차이를 보여준다. 따라서 대만의 주요 매체는 정치적 입장에 따라 의제를 선점하거나 주도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대만 매체룰 남녹 입장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2000년 이전까지는 국민당 중심의 정치 유산의 영향에 따라 남색 매체가 우세를 차지했지만, 2000년 이후부터는 천수이볜 정부 이후 대만 중심 사관과 탈중국화 운동의 영향으로 친민진당적이고 독립지향적인 녹색 매체의 숫자가 크게 증가하고 영향력도 강화되었다.

 

현재 녹색매체는 자유시보(自由時報), 민시TV(民視), 삼립TV(三立電視), 년대TV(年代電視), 동삼TV(東森電視) 등이 있다. 정치토론프로그램을 통해 일단의 녹색입장에 치우친 패널을 출연시켜 국민당의 친중 입장과 공산당의 통일전선전술을 비판하고, 또한 중국과의 통일보다는 대만 독립 지향적인 주장을 주로 한다.

 

반면에 남색매체는 연합보(聯合報), 중국시보(中國時報), 중천TV(中天電視), TVBS TV, 중앙통신사(中央通信社) 등이 있다. 이들 역시 녹색 매체의 주장이나 민진당 정책에 대해서는 비판위주의 보도를 하면서, 중국과의 교류를 통한 이익을 강조하고 국민당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주로 표방한다.

 

남녹 매체는 4의 권력으로서 대만 민중에게 자신의 프레임을 유리하게 받아들이도록 하는 공론장으로서 기능하는데, 간략히 세 측면에서 활용되고 있다. 첫째, 정당 및 정치인의 언행에 대한 평가를 통해 자신들의 주장을 대중에 전파시키려 한다. 둘째, 지방자치단체, 의회, 총통선거에 영향을 주고자 한다. 셋째, 대만 및 양안관계와 관련한 의제를 설정하고, 여론에 영향을 주고자 한다.

 

대만의 매체는 정파적 시각에 따라 시의성 높은 사건이나 주제와 관련한 보도 및 토론 프로그램에서특정 정당 혹은 정치인사를 활용해, 사건을 과장 또는 축소하거나 심지어는 왜곡, 날조하면서 여론을 유리하게 조성하려고 한다. TV방송국에서 운영하는 정론프로그램은 보통 1-6명 정도의 패널을 초청하는데, 그림, 도표, 사진, 키워드를 추출하여 복잡한 정치현상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해된다.

 

대만매체의 중국 보도연구의 지역별 통계를 보면 북경이 가장 많은 7곳이며, 복건 2, 상해, 중경, 산동 등 세 지역이 각각 1곳씩 연구가 이루어졌다. 발간횟수를 기준으로 보면, 격월 출판이 2(国际展望-上海市国际问题研究院-상해, 统一论坛-中国和平统一促进会-북경)이며, 월간지가 5종류(两岸关系-海峡两岸关系协会-북경, 出版参考-中国版协国际合作出版促进会-북경, 东南传播-福建省广播影视集团-복건, 海峡科技与产业-科技部海峡两岸科技交流中心-북경, 中国广播-中央人民广播电台-북경)로 가장 많았다. 또한 1종류 (台声-中华全国台湾同胞联谊会-북경)는 월 2회 발간되고 있다.

 

상위 15개 키워드별 통계 특징을 보면 프레임 이론과 내용 분석, 매체형태, 뉴스프레임, 프레임 분석 등 미디어 분석 이론 관련 키워드가 많고, 대만매체, 연합보, 자유시보 등 특정 미디어도 자주 언급되었다. 세 번째 특징으로 양안, 대만, 양안관계, 대륙 등 지역을 의미하는 키워드가 많았다.

 

 


*본 보고서의 내용은 중국인문사회연구소의 지식생산이며 인용 시 자료원을 명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32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3-1-23] 중국 독립다큐멘터리의 주요 전파네트워크 file 박영순 2013-05-21 3885
32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4-7] 2011년 과학기술 진보 통계 검측 지수 file 유정원 2012-08-18 3877
31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9-5-60] 통식교육 연구 지역지형 file 최은진 2019-11-26 3873
31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8-4-66] 지역별 厂办大集体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8-05-21 3864
31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9-6-01] 중국의 지역별 한국연구 file 김주아 2019-11-27 3844
31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3-1-24] 2000년대 각 지역별 예술공연단체와 공연장소기구의 현황 file 박영순 2013-06-20 3830
31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3-2-18] 중국공산당 18기 중앙위원 출신지 분포 file 서상민 2013-05-22 3830
31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3-4-15] 지역별 新生代农民工城市融入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3-04-22 3827
31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4-4] 2010 과학기술활동 산출 file 유정원 2012-05-29 3827
31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9-1-86] 명대 진사(進士)의 지역적 분포 file 박영순 2019-05-24 3800
31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2-1-12] 2009년 지역별 TV애니메이션 생산 현황 file 박영순 2012-06-20 3800
31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1-61] 명·청대 문학가의 지역적 분포 file 박영순 2017-02-22 3798
30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3-1-21] 2009년 중국의 지역별 신문 광고와 매체 file 박영순 2013-03-26 3795
30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3-4-14] 지역별 单位社会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3-03-28 3790
30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4-4-23] 居民委员会 街道办事处 관련 논문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4-06-21 3787
30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9-2-77] 중국의 대만 국민당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9-02-26 3783
30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1-63] 청초 유민결사의 지역적 분포와 특징 file 박영순 2017-04-19 3760
30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8-1-78] 중국 장원(壯元)의 지역적 분포 file 박영순 2018-09-22 3758
30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0-6-08] 중국의 '언어자원' 관련 지역별 분포 김주아 2020-12-23 3754
30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4-1-39] 화인디아스포라문학사단의 분포와 특징 file 박영순 2014-10-20 37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