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초 유민결사의 지역적 분포와 특징

 

 

 201704지도.jpg

 

 

 

자료출처: 何宗美, 明末淸初文人結社硏究(南開大學出版社, 2003)

 

 

   위 지도는 명말청초 문인결사와 유민결사에 대한 자료를 토대로 그린 것이다. 지도는 명대 문인결사(녹색)와 유민결사(분홍색)를 함께 배치하여 상호 유사성을 볼 수 있다.

 

   유민들의 結社는 일종의 생존방식의 하나이다. 명나라의 쇠퇴와 멸망, 만주족의 통치, 청초 주소안(奏銷案문자옥 등 정치 문화적 환경 속에서 명대 유민은 다양한 생존의 길을 걸어왔다. 당시 상황에 대해 양봉포(楊鳳苞)는 이렇게 말한다.

 

 

          “명 조정이 전복되자 사인들은 초췌해지고 직위도 잃었다. 세속을 떠나 은둔하며 지내는 글을 잘 짓는 문인

           들이 잇달아 詩社를 만들어 옛 조정과 군주에 대한 마음을 술회하였다. 양자강 이남에는 유민결사가 없는 곳

           이 없었다.”(楊鳳苞, 秋室集1書南山草堂遺集後)

 

  

  위 인용문은 크게 유민들의 생존방식, 결사의 성격, 지역적 특징으로 나눠 볼 수 있다.

 

   첫째, 청초 명대 유민들의 생존방식. 청초 유민들이 선택한 생존방식은 명 조정의 회복을 위해 투쟁하거나, 도피하여 산림 속에 은거하거나, 왕래를 끊고 저술에 심혈을 기울이거나, 승이나 도사가 되거나, 벼슬을 거부하며 市井에서 섞여 사는 등 다양한 선택으로 삶을 이어왔다.

 

   둘째. 청초 명대 유민결사의 성격적 유형. 청초 유민결사는 절대적으로 하나의 노선을 추구하지는 않았으며 어느 결사이든 시문 창작은 그들의 주된 활동이었다. 하지만 시대적 상황과 맞불려 상대적으로 정치적 색채를 많이 띠었다. 유민결사의 구성원이 복명항청(復明抗淸)의 투쟁과 청초 곡묘안(哭廟案주소안·문자옥(莊廷鑨明史案 ) 등으로 인해 살해·유배되는 경우가 있었다(懷忠社, 忠誠社, 驚隱詩社 )이다. 또한 상대적으로 투쟁의 색채는 적으며 詩文을 주고 받으면서 유민의 통한과 심정을 토로해나갔다.(蓮社, 驚隱詩社 등) 그리고 주로 강학, 독서 등의 활동을 통해 학문과 창작에 중심을 둔 강학의 성격이 강한 사단도 있다.(蓮社, 水村讀書社 )

 

   이러한 세 가지 유형은 유민들이 선택한 생존방식들이다. 상대적으로 정치적 참여, 시문창작, 강학 활동이라는 성향과 특징을 지니지만, 유민들의 정치적 행위 역시 생존 때문이었지 정치활동 그 자체가 목적은 아니었을 것이다(일례로 유민결사의 와해와 일관되게 지켜왔던 不仕의 절개가 변해가는 것을 볼 때). 물론 그들은 문인이자 유민으로서 결사라는 방식을 통해 외부적 행동과 내면적 창작을 공히 해나갔지만 집단적인 외부활동이 심한 한계에 부닥치면 더욱더 내면의 세계로 집중해왔고, 당시 자신의 심리적 변화를 창작과 저술로 표현해왔다창작활동을 통한 그들의 생존방식에 대한 연구가 주목을 받는 이유이기도하다.

 

   셋째, 청초 명대 유민결사의 지역적 특징. 유민결사는 큰 범주에서 볼 때 문인결사에 속한다. 그 지역적 특성은 문인결사의 특징과 거의 유사하게 드러난다. 첫째, 문인결사의 수로 보자면 대표적인 연구 결과로 볼 때, 명대 문인결사는 총176(郭紹虞, 명대문인결사연표), 후에 작가의 別集과 각종 지방지의 문헌기록을 통해 보안한 결과 총313(하종미, 명말청초문인결사연구)라고 한다. 313개의 지역적 분포를 보면 南直(강소·안휘·상해 일대) 107, 浙江 97, 廣東 33, 福建 18, 江西 17, 湖廣(호북·호남 일대) 16, 北直(북경·천진 일대) 15, 山東·河南 4, 雲南 1, 四川 1개의 순이다. 이 가운데 200여개는 강남지역에 분포해있다.

 

   한편, 청대 강남지역의 문인결사는 약200여개이며, 이 가운데 청 순치에서 강희 초까지의 문인결사는 약70여개이다. 그 중 유민결사는 약50개가 넘으며 주로 蘇州·常州·松江·鎭江 4등 강남 지역에서 가장 성행했다원나라 때 송대의 유민결사는 주로 남송의 고도 항주를 주축으로 하는 절강 일대가 중심이 되었고, 청대 유민결사 역시 명대의 고도 남경을 주축으로 하는 강소 일대가 중심이 되었다. 그러나 청대 유민결사는 강소를 중심으로 볼 때, 남쪽으로 절강·복건·광동 일대로 확대되고, 서쪽으로는 강서·안휘·호남 일대로, 북쪽으로는 산동·하북으로, 서북쪽으로는 산서·섬서 등의 전국적인 분포를 형성하였다. 명대 유민결사의 지역분포는 송대 유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지만 여전히 강소·절강 일대가 주축을 이루었다.

 

   또한 청초 명대 유민결사의 지역적 특징은 명말 문인결사의 상황에 영향을 받아 문인결사활동이 빈번한 지역은 유민결사도 빈번했다. 소주, 송강 등의 강남지역은 문인결사의 전통이 깊은 곳이며 유민결사 또한 활발한 곳이었다. 또한 청초 소주부, 송강부 및 상주부의 의흥(宜興), 강음(江陰) 등은 명말청초 시기 항청 투쟁이 격렬한 곳이었으며 유민결사의 활동도 활발했다. 이는 명말 정치성향의 문인사단인 복사(復社), 기사(幾社), 동림당의 구성원 및 그 가족, 제자 등이 청초 유민결사에서 활동을 벌이는 것으로 볼 때 상호 영향관계가 있었음을 짐작케 한다.

 

   넷째, 청초 명대 유민결사의 변화: 청초 10여 년간은 명나라가 망한지 오래되지 않았고 남명정권이 아직 강남에서 일정정도의 세력과 영향을 가지고 있다. 당시 유민들의 반청복명의 활동은 유민들의 절조이자 생존이자 삶의 의지의 표현이었다. 청초 유민결사는 정치적 활동, 시문창작 활동, 학문연구, 저술 작업 등 다양한 활동을 하였다. 그러나 순치17결사금지(社禁)’ 단행, 결사 구성원들의 정치적 탄압, 성원들의 잇따른 사망 그리고 박학홍사과(博學鴻詞科) 등 강희제의 회유정책 등으로 인해 복명(復明)의 희망도 투쟁의 의지도 점차 희박해져갔다. 그 후 친목성이 강한 이로시사(怡老詩社) 등의 문인사단이 생겨나면서(佳日社·尙齒社·婁東十老會 ) 청초 유민결사는 서서히 소멸·변화되어갔다.

 

 

   

* 본 보고서의 내용은 중국인문사회연구소의 지식생산이며 인용 시 자료원을 명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2-62] 중국의 중국몽(中國夢) 연구동향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7-08-28 3124
29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4-58] 지역별 城市棚户区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7-08-23 3096
29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7-3-56] 2017년 기준 중국의 지역별 사회단체 현황과 그 특징 file 서상민 2017-07-27 3322
29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1-66] 송대 문학가의 지역별 분포 file 박영순 2017-07-26 3012
29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4-57] 지역별 城市公共性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7-07-17 3031
29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7-3-55] 2017년도 중국 국가공무원의 지역별 채용인원 수와 특징 file 서상민 2017-06-30 3612
29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5-50] 중국 서원연구의 지역지형 file 최은진 2017-06-26 3264
29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2-61] 중국의 홍콩식 일국양제(香港一国两制) 연구동향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7-06-26 3294
29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4-56] 지역별 156项工程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7-06-26 2833
29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1-65] 명·청시기 진사의 지역별 분포 file 박영순 2017-06-26 3041
29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7-3-54] 2016 중국 지역별 바이주(白酒) 생산량 현황 file 서상민 2017-05-29 5447
28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2-60] 중국의 웨이보정치(微博政治), 웨이신정치(微信政治) 연구동향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7-05-28 3966
28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1-64] 양대 유역 주요 문학가의 지역별, 시대별 분포 file 박영순 2017-05-26 4688
28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4-55] 지역별 混合所有制 国企改革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7-05-25 3148
28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2-59] 중국의 대만매체 연구동향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7-04-25 2966
28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4-54] 지역별 行政社区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7-04-24 2828
»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1-63] 청초 유민결사의 지역적 분포와 특징 file 박영순 2017-04-19 3745
283 [현대 중국 지식지형 리포트 : 2017-5-49] 중국노동교양제도 연구 지역지형 file 최은진 2017-03-27 2904
28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4-53] 지역별 镇管社区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7-03-27 2899
28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2-58] 중국의 일국양제 연구동향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7-03-23 3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