以禪喩詩

 

 245_문학예술_박영순_以---에-대한-연구동향.jpg

 

 

 

 

자료출처: 中國知網(CNKI)

 

 

   위 지도는 中國知網(CNKI)에서 이선유시(以禪喩詩)’를 전체문헌 속에서 편명으로 검색 (2016.09.27)한 결과 총47편을 토대로 하여, 그에 대한 연구 상황 및 개념을 정리한 것이다.

 

   송나라 때는 선종이 성행하였다. 문인들은 선객들과 자주 왕래를 하면서 시와 선의 공통점을 이끌어내어 시를 논평하였다. 시와 선을 하나로 보는 시선일여(詩禪一如)’, 시를 논하는 것은 선을 논하는 것과 같다는 논시여논선(論詩如論禪)’의 인식이 생겨났다. 급기야 시와 선의 유사성에 착안한 시가비평용어가 등장했으니 이선유시가 그것이다. ‘이선유시선의 이치를 빌어 시의 이치를 비유한다는 뜻이다. 남송 시론가 엄우가 창랑시화에서 본격적으로 논의한 시가비평용어이다.

 

   시와 선은 어떤 유사성을 지니는가. 엄우는 시도와 선도의 공통점은 묘오(妙悟)’에 있다고(‘禪道惟在妙悟, 詩道亦在妙悟’)설파하였다. 불교에서 말하는 묘오란 불가사의한 진리의 실상을 깨닫는 과정 또는 깨달음의 경지를 말한다. 깨달음은 사변적, 논리적 사유를 초월하여 마음을 통해 직관적으로 진체(眞諦)를 터득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의 특징을 불립문자(不立文字)’로 요약할 수 있다. 시의 경지도 마찬가지이다. 엄우가 말하는 시의 묘오는 논리적 사고나 지식의 축적에 의지하지 않고 직관적 감수와 심리적 교감에 의지한다사변적 관념과 논리적 사유로 이루어지는 것 아니라는 것이다(‘以文字爲詩, 以議論爲詩, 以才學爲詩’). 이러한 특징을 이치의 길에 빠져들지 않고(不涉理路), 언어의 통발에 걸려들지 않는 것(不落言筌)’이라고 요약했다.

 

   선의 오묘한 이치는 문자로 표현할 수는 없듯이(불립문자), 시의 오묘한 이치 역시 언어의 구축만으로 도달할 수 있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불락언전). 이처럼 선가의 특징인 불립문자의 함의는 시가창작 사유방식인 불락언전과 유사하다. 언어를 초월한 마음의 직관적 포착과 깨달음이 닮아있는 것이다. 이를테면, 선의 최고의 경지는 선 자체가 아니라 고요한 선정(禪定)의 상태이며, 시의 최고의 경지는 언어 자체가 아니라 궁극의 미감이다. 전자는 생각을 비울 때 후자는 말을 비울 때 각기 도달할 수 있는 경지이다. 이처럼 시와 선의 궁극의 경지는 단지 사변의 길, 말의 길, 논리의 길로는 다다를 수 없으며, 생각도 말도 논리도 끊기는 그 직관의 지점에서 궁극의 미감은 펼쳐진다.

 

   ‘이선유시묘오의 함의는 언어로부터 벗어날 때 언어의 의미는 살아난다부정의 미학에 근거한다. 이 때 부정은 판단의 개념이 아니라 망각의 경지이다. 일종의 언어도단이다. 예를 들면, 장자·외물에서 어망은 고기를 잡기 위해서이다. 고기를 잡으면 곧 어망을 잊는다. ……말이란 뜻에 있기 때문에 그 뜻을 얻으면 곧 말을 잊는다.(得魚而忘筌, 得意而忘言)”라고 했듯이, 언어라는 물리적 속성으로부터의 망각이다. ‘말은 뜻을 다 전달할 수 없다(言不盡意)’는 의미이자, 수레를 깎던 윤편(輪扁)의 진정한 기술은 마음으로 체득할 뿐 말로는 설명할 수 없다는 의미와도 같은 이치이다. 말은 단지 사물의 형체, 빛깔, 음성을 표현할 뿐이다. 하지만 그들 언어가 구축해 놓은 허공으로 난 소리, 물속에 비친 달, 형상속의 빛깔(‘空中之音, 水中之月, 相中之色’)은 이미 언어를 초월하여 또 다른 경계의 의미를 부여하고 있으니, 이러한 경지는 부호의 언어를 통해 느끼는 것이 아니라 직관적인 마음으로 느끼는 것과 같은 예이다.

 

   다음은 서두에서 밝힌 검색조건을 통해 드러난 이선유시에 대한 연구 동향을 간략히 정리한다. 모두 총47편이지만 모든 문장(全文)으로 검색하면 총2,977(11.28일 검색)이 나온다. 대부분 엄우·창랑시화·송대 시학·신운(神韻선과 시 등에 대해 폭넓게 논의하고 있다. 그러나 이선유시를 단독 주제로 한 논문은 50편 정도가 된다. 연구경향의 간단한 특징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선유시에 대한 연구논문이 수록된 학술지는 문학유산, 문예예술연구, 문학평론, 복단대학학보, 문예연구, 학술월간, 민주판상보(民主辦商報), 曁南대학학보, 산동사범대학학보, 화동사범대학학보, 산동대학학보, 사회과학전선등의 순서로 많았다. 위의 학술지들은 중국문학연구의 권위 있는 학술기간물이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특정 학술지에 집중적으로 실린 게 아니라 다양하게 고루 실렸다. 그리고 대학에서 발행하는 학술지인 학보가 반 이상을 차지한 점은 대학 내의 기간물이 지식생산의 주요 경로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가운데 푸단대학의 경우는 문학비평사 연구의 시작점이 된 궈샤오위(郭紹虞), 주동룬(朱東潤)를 이어 왕윈시(王運熙), 꾸이성(顧易生) 그리고 황린(黃霖) 등 현재에 이르기까지 고전문학비평연구의 학술근거지로 자리하고 있다. 푸단대학은 이러한 학술적인 토대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중국고전문학이론연구를 지속적이고도 활발하게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둘째, 관건사를 볼 때, 묘오·엄우·선종·의경(意境창랑시화·흥취(興趣불교·심미(審美왕유(王維의상(意象신운·시학사상·강서시파(江西詩派이학(理學) 등 시가비평용어와 선종과 시, 남송문학 등과 관련한 문학용어들이 주를 이루었다.

 

   시와 선의 관계는 알쏭달쏭하다. 그런데 오묘한 깨달음의 경계는 늘 언어를 벗어나 있다. 선과 시는 이런 점이 닮아있다. 그래서 송나라 때 시인들은 선객들과 왕래할 때 시와 선의 공통점을 그들만의 소통의 코드로 삼으면서, 시와 선을 갈마들며 중국시가이론의 사유영역을 확장해나갔다. 그 후 청대 신운설로 계승되면서 대표적인 중국시가이론의 하나로 자리하였다.(출처를 제시하지 않은 용어는 모두 창랑시화에서 인용)

 

 

 

* 본 보고서의 내용은 중국인문사회연구소의 지식생산이며 인용 시 자료원을 명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8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1-62] 명대 문인결사의 지역적 분포와 특징 file 박영순 2017-03-22 3625
27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2-57] 중국의 통일전선 연구동향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7-02-24 3606
27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7-3-53] 2016 중국 지역별 1인당 평균 소비액과 그 특징 file 서상민 2017-02-24 3337
27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4-52] 지역별 上海自贸区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7-02-23 2663
27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1-61] 명·청대 문학가의 지역적 분포 file 박영순 2017-02-22 3783
27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7-5-48] 중국대학학술자유연구 지역지형 file 최은진 2017-01-25 3477
27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1-60] 공자제자 연구 file 박영순 2017-01-23 3504
27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6-4-51] 지역별 海绵城市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7-01-17 2917
27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6-3-52] 2016년도 중국 국가중점대학 지역별 입시율 현황과 그 특징 file 서상민 2016-12-28 3615
27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6-4-50] 지역별 老工业区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6-12-27 2926
27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6-2-56] 중국의 협상민주 연구동향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6-12-26 2923
26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2016-5-47] 서원정신 학술 지식지형 file 최은진 2016-12-26 2948
»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6-1-59] 중국문학비평용어6: ‘以禪喩詩’ file 박영순 2016-11-29 3303
26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6-3-51] 중국의 지역별 고령화정도와 그 특징 file 서상민 2016-11-28 6163
26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6-2-55] 중국의 민족구역자치 연구동향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6-11-24 3295
26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6-3-50] 2015년 세계은행 기준 중국의 지역별 빈곤인구수와 빈곤인구 비율 file 서상민 2016-10-28 4726
26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6-4-49] 지역별 南锣鼓巷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6-10-26 2909
26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6-5-46] 중국 제 3의 길 학술지역 지형 file 최은진 2016-10-26 2955
26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6-2-54] 중국의 대만민족주의 연구동향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6-10-26 3377
26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6-1-58] 중국문학비평용어5: ‘賦詩言志’ file 박영순 2016-09-27 3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