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터넷 공공영역 담론의 지식지형

 

인터넷-공공영역-담론지형.jpg

 

  자료출처:CNKI中國知網 http://epub.cnki.net/grid2008/index/ZKSHKX.htm

  

中國에서 인터넷의 빠른 보급에 따라 인터넷 공간의 활용과 역할이 증대되었다. 이러한 중요한 역할이 인식되면서 인터넷 공간에서의 공공영역의 출현에 대한 기대와 가능성을 주목하는 학술논문들의 생산도 늘어나게 되었다. 201212CNKI상에서 공공영역에 관한 6500여개의 논문 가운데 인터넷 공공영역을 키워드로 한번 더 검색하여 볼 경우 77개 논문이 검색되는데 이 논문은 대부분 2002년 이후 산출된  것이다. 그리고 그 추이를 보면 20021편에서 20057, 200912201019, 201116편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물론 인터넷 공공영역이 진정한 공공영역인가에 대한 여러 논의가 있을 수 있지만 중국사회변화를 추동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전체 논문 산출 저자 89명의 소속 대학의 소재지로 지역별 논문 생산현황을 살펴보면 호북 13, 상해 10, 강소와 광동 6, 하북, 길림, 강서가 5, 하남, 산동, 절강, 안휘가 4, 북경, 사천, 호남이 3, 광서, 천진, 감숙, 산서가 2, 복건, 요녕, 흑룡강, 섬서, 신강, 운남이 1, 귀주, 내몽고, 중경, 청해, 홍콩, 해남, 서장, 영하는 0개로 나타났다. 호북의 화중사범대학, 길림의 동북사범대학, 상해의 복단대학, 동제대학, 호북의 무한대학, 사천의 사천대학, 강서의 강서사범대학, 산동의 산동대학, 절강의 절강 水利水電高等轉科學校, 강소의 소주대학, 하북의 하북대학 등이 대표적 연구기관이다.

 

 이상의 지도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인터넷 공공영역에 대한 논의는 상해가 북경에 비해 더 주도적이라는 것과 주로 광동과 강소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호북이 압도적으로 많은 것이 특징인데 이에 대해서는 좀더 고찰이 필요하다. 향후  인터넷 공공영역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이루어질지에 대해서는 확실한 전망은 어렵지만, 인터넷 보급 속도와 비례하여 그 영향력이 커질 것은 충분히 전망된다

  

 

* 본 보고서의 내용은 중국인문사회연구소의 지식생산이며 인용 시 자료원을 명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