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본(杜本) 곡음(谷音)의 인물과 지역분포

 

 

202205 지도.jpg


자료출처: [] 杜本, 谷音, 中華書局, 1985

 


   위 지도는 원나라 두본(杜本)이 엮은 곡음(谷音)에 실린 30명의 소전(小傳)을 토대로 작성한 것이다.

 

 

역사적 정권교체기에서 고립무원의 신하와 절개 있는 지사들이 정사나 야사에 실리지 못

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 가운데 송 유민들의 천지간집(天地間集)·월천음사시(月泉吟社

)·곡음등의 바로 그런 류이다.”([] 朱彝尊, 天愚山人詩集序)

 

 

   『곡음은 원대 두본(杜本(1276-1350)이 편선한 유민(遺民) 시집이다. ·하권으로 구성되었다. 상권에는 10명 시인의 작품 50수가 실려있고, 하권에는 20(15명 시인, 무명씨 5)의 작품 51수가 실렸다. 30명의 시인과 101수를 수록하였다. 시인마다 작가 소개에 해당하는 소전(小傳)이 있다. 이들은 대부분 남송, 금에서 원으로 교체되는 난세의 소민(小民)들로서 정사에도 올라와 있지 않은 인물들이다.

 

   『곡음의 인물은 크게 두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권 왕회(王澮) 이하 10명은 절의를 지킨 절사들이며, 하권 첨본(詹本) 이하 15명은 이름을 숨기고 세상에서 숨어 사는 부류들이며, 번양포의(番陽布衣소상어부(瀟湘漁父) 이하 5명은 성명을 알 수 없는 송() 일민(逸民)이다.(王士禎, 香祖筆記) 이 가운데 왕회(王澮정자수(程自修염수(冉琇원길(元吉맹경(孟鯁)은 모두 금원(金元) 사이의 시인들이다. 이들 가운데 장횡(張璜)은 전장에서 전사했고, 왕애(汪涯)는 군사첩보를 초안하지 않는 바람에 가사도(賈似道)에게 살해당했다.(四庫全書總目提要)

 


<1>: 곡음(谷音)의 인물 관련 내용


번호

성명

지역()

인물유형

1

왕회(王澮)

요동(遼東: 요령)

6

節義之士

2

정자수(程自修)

낙양(洛陽: 하남)

7

節義之士

3

염수(冉琇)

낭야(琅琊: 안휘)

6

節義之士

4

원길(元吉)

하동(河東: 산서)

5

節義之士

5

맹경(孟鯁)

곡부(曲阜: 산동)

4

節義之士

6

안여산(安如山)

광한(廣漢: 사천)

2

節義之士

7

왕저(王翥)

성도(成都: 사천)

5

節義之士

8

사엄(師嚴)

양양(襄陽: 호북)

6

節義之士

9

장염(張琰)

광릉(廣陵: 강소)

5

節義之士

10

왕애(汪涯)

한양(漢陽: 호북)

4

節義之士

11

첨본(詹本)

건안(建安: 복건)

3

避世之流

12

황포명자(皇甫明子)

사명(四明: 절강)

3

避世之流

13

정개(丁開)

장사(長沙: 호남)

4

避世之流

14

포아(鮑輗)

괄창(括蒼: 절강)

7

避世之流

15

최구(崔璆)

경구(京口: 강소)

3

避世之流

16

어잠(魚潛)

고숙(姑孰: 안휘)

5

避世之流

17

가지(柯芝)

서양(瑞陽: 호남)

3

避世之流

18

가무겸(柯茂謙)

서양(瑞陽: 호남)

2

避世之流

19

소정(邵定)

려릉(廬陵: 강서)

2

避世之流

20

웅여화(熊與龢)

예장(豫章: 강서)

2

避世之流

21

안예(晏乂)

의춘(宜春: 강서)

2

避世之流

22

손련(孫璉)

대유(大庾: 강서)

2

避世之流

23

양응등(楊應登)

임강(臨江: 길림)

2

避世之流

24

양문(楊雯)

임강(臨江: 길림)

5

避世之流

25

증동(曾童)

우강(旴江: 강서)

1

避世之流

26

번양포의(番陽布衣)

無記(해남 추정)

1

宋之逸民

27

소상어부(瀟湘漁父)

無記(호남 추정)

1

宋之逸民

28

건순노인(乾淳老人)

            無記

1

宋之逸民

29

민청야인(閩清野人)

無記(복건 추정)

1

宋之逸民

30

나부광객(羅浮狂客)

無記(광동 추정)

1

宋之逸民


출처: 杜本, 谷音(中華書局, 1985)에 근거하여 저자 보완·정리

 


 

   책 제목 谷音에서 보이듯이, 그들이 표현해낸 山谷의 소리[]’는 계곡에 갇혀 나아갈 수도 물러설 수도 없는 진퇴유곡(進退維谷) 속에서 드러낸 곤경의 소리이기도 하고, 계곡과 돌 사이에서 흐르는 자연의 소리이기도 하며, 계속 흘러나오는 텅 빈 계곡의 소리이기도 하다. <1>에서 節義之士’, ‘避世之流로 구분했듯이, 그들의 시 속에는 비분강개한 슬픈 소리’, ‘맑게 읊조리는 소리’, ‘가슴을 휘감는 유장한 여운의 소리등이 잘 나타나 있다. 시대적 분기에 처한 유민으로서의 절의와 은일의 생()을 담은 작품들이다.

 

 

 

* 본 보고서의 내용은 중국인문사회연구소의 지식생산이며 인용 시 자료원을 명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5-67] 페이샤오통(費孝通) 연구 지식지형 file 최은진 2022-11-28 1272
45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1-107] 하분제로(河汾諸老)의 주요 특징과 연구상황 file 박영순 2022-11-23 1351
45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3-67] 한중수교 이후 30년간의 한중 지자체 교류 현황(2021.12 현재) file 서상민 2022-10-27 1965
45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6-18] 중국의 ‘온라인 화문교육’ 관련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김주아 2022-10-26 1533
45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4-97] 지역별 总和生育率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22-10-24 1441
45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1-106] 시승(詩僧)에 관한 연구동향과 지역분포 file 박영순 2022-09-19 1769
45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5-66] 옌양추(晏陽初) 연구 지식지형 file 최은진 2022-09-14 1759
45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06-16] 중국의 ‘조선족(朝鮮族)’관련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김주아 2022-08-22 2897
45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4-96] 지역별 社会面清零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22-08-22 2088
45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1-105] “도선(逃禪)” 관련 연구 상황과 지역분포 file 박영순 2022-07-24 2706
45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6-16] 중국의 ‘미국 화교화인’ 관련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김주아 2022-06-27 2582
44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2-96] 중국의 ‘문화공정’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22-05-25 3202
»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1-104] 두본(杜本) 『곡음(谷音)』의 인물과 지역분포 file 박영순 2022-05-16 3007
44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6-15] 중국의 ‘中韓建交(한중수교)’ 관련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김주아 2022-04-21 2731
44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4-95] 지역별 封城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22-04-19 2741
44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5-65] 소수민족교육연구 지식지형 file 최은진 2022-03-22 2935
44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1-103] 명말청초 경세(經世) 사조와 연구 동향 file 박영순 2022-03-19 3179
44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6-14] ‘신화교화인(新华侨华人)’ 관련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김주아 2022-02-25 6503
44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4-94] 지역별 普惠金融 金融科技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22-02-23 2603
44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2-95] 중국의 ‘대만 자유시보’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22-01-25 30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