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분제로(河汾諸老)의 주요 특징과 연구상황

 


202211지도.jpg


자료출처: 中國知網(CNKI)

 



   위 지도는 中國知網(CNKI)에서 하분제로(河汾諸老)’주제(主題)’로 검색한(검색일: 2022.11.10) 결과 총 44편의 연구논문을 토대로 작성한 것이다.

 

   위의 44편은 학술지 논문 34, 학위논문 6(석사학위논문) 외에도 학술대회논문, 연감수록논문 등으로 구성된다. 본 지식지도는 44편에 실린 하분제로의 연구 특징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학술지(대학 포함)의 지역분포를 대략 그린 것이다.


   하분제로(河汾諸老)는 금원(金元) 시기 유민(遺民) 시인 군체이다. () 대덕(大德) 7(1303)에 방기(房祺)가 편찬한 하분제로시집(河汾諸老詩集)에서 명명되었다. 이 시집에는 마혁(麻革장우(張宇진경(陳賡진유(陳庾방호(房皡단극기(段克己단성기(段成己조지겸(曹之謙) 8명의 시 작품 총 201수가 수록되어 있다. 진경, 진유 외에 6명은 모두 유민이므로 일반적으로 하분제로시집을 유민시집이라 일컫는다하분(河汾)의 시인들은 시 작품 속에서 당시 역사적 분위기와 현실에 대한 인식 및 은일의 심리를 주로 반영하였고, 하분(현 산서山西 서남쪽)이라는 지역적 시인 군체로서의 지역적 특징도 잘 보여주고 있다.

 

   44편의 연구논문은 시대적으로 금말원초(金末元初), 금원교체기(金元之際) 등 역사적 정권교체기의 하분제로를 대상으로 하여, 하분제로와 주요 인물 단극기(段克己단성기(段成己마혁(麻革)과 원호문(元好問), 유민시(遺民詩)와 하분제로시집(詩集), 지역 연구로서의 산서시인군체(山西詩人群體)와 지역 특징(地域特徵), 집단연구로서의 군체연구(群體研究) 등의 주제를 주로 다루었다.


   연구논문이 실린 주요 기간물은 강소대학학보(江蘇大學學報)·산서대학학보(山西大學學報)·진양학간(晉陽學刊)·은도학간(殷都學刊)·수화학원학보(綏化學院學報)·흔주사범학원학보(忻州師範學院學報)·진도학간(晉圖學刊)·산서연감(山西年鑒)등이며, 이들의 지역별 분포를 보면 산서 지역이 가장 많고 강소·내몽고·요령·흑룡강·하북·북경 등이 다음이다.

 

   요약하자면, 하분제로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주로 금원교체기에 산서 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유민시인군체를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작품과 인물 및 지역 특징을 위주로 연구하고 있다. 유민시인군체로서의 하분제로 연구는 (특히 명말청초) 유민결사에 대한 지역적 분포와 특징, 유민결사의 역사적 형성과 변화, 유민시가창작 특징과 지역적 특색, 유민의 생존방식과 사회역할, 유민문학 및 문인결사의 문학사적 의의 등과 유기적인 연구가 가능한 주제이다.

 

   유민 시인(군체)은 역사적 정권교체기에 형성된 만큼 그들의 삶은 개인적인 요인 외에도 시대적 영향을 크게 받았다. 그들은 유민결사를 형성하여 집단적으로 시대적, 문학적 활동을 벌임으로써 작게는 유민군체 크게는 문인결사의 학술적 계보를 그려나갔다. 따라서 유민, 유민군체, 시승(詩僧), 문인결사 등에 관한 연구는 보다 집단적인 사회·역사·지역·문학(문화)과 연동하여 그들의 활동과 의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본 보고서의 내용은 중국인문사회연구소의 지식생산이며 인용 시 자료원을 명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5-67] 페이샤오통(費孝通) 연구 지식지형 file

  • 최은진
  • 2022-11-28
  • 조회 수 130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1-107] 하분제로(河汾諸老)의 주요 특징과 연구상황 file

  • 박영순
  • 2022-11-23
  • 조회 수 138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3-67] 한중수교 이후 30년간의 한중 지자체 교류 현황(2021.12 현재) file

  • 서상민
  • 2022-10-27
  • 조회 수 200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6-18] 중국의 ‘온라인 화문교육’ 관련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 김주아
  • 2022-10-26
  • 조회 수 157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4-97] 지역별 总和生育率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 박철현
  • 2022-10-24
  • 조회 수 146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1-106] 시승(詩僧)에 관한 연구동향과 지역분포 file

  • 박영순
  • 2022-09-19
  • 조회 수 180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5-66] 옌양추(晏陽初) 연구 지식지형 file

  • 최은진
  • 2022-09-14
  • 조회 수 179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06-16] 중국의 ‘조선족(朝鮮族)’관련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 김주아
  • 2022-08-22
  • 조회 수 294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4-96] 지역별 社会面清零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 박철현
  • 2022-08-22
  • 조회 수 212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1-105] “도선(逃禪)” 관련 연구 상황과 지역분포 file

  • 박영순
  • 2022-07-24
  • 조회 수 273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6-16] 중국의 ‘미국 화교화인’ 관련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 김주아
  • 2022-06-27
  • 조회 수 261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2-96] 중국의 ‘문화공정’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 이광수
  • 2022-05-25
  • 조회 수 323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1-104] 두본(杜本) 『곡음(谷音)』의 인물과 지역분포 file

  • 박영순
  • 2022-05-16
  • 조회 수 304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6-15] 중국의 ‘中韓建交(한중수교)’ 관련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 김주아
  • 2022-04-21
  • 조회 수 275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4-95] 지역별 封城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 박철현
  • 2022-04-19
  • 조회 수 277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5-65] 소수민족교육연구 지식지형 file

  • 최은진
  • 2022-03-22
  • 조회 수 296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1-103] 명말청초 경세(經世) 사조와 연구 동향 file

  • 박영순
  • 2022-03-19
  • 조회 수 322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6-14] ‘신화교화인(新华侨华人)’ 관련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 김주아
  • 2022-02-25
  • 조회 수 658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4-94] 지역별 普惠金融 金融科技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 박철현
  • 2022-02-23
  • 조회 수 263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2-95] 중국의 ‘대만 자유시보’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 이광수
  • 2022-01-25
  • 조회 수 30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