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중국대학의 지역별 우수학과 분포.jpg


최근 한국의 한 언론사가 실시하는 대학평가를 두고 이러저러한 말들이 많다. 대학평가는 대학을 서열화할 뿐만 아니라, 대학의 학문다양성을 올바르게 평가할 수 없다는 문제점 등이 있다. 중국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대학의 특성이나 명성 그리고 대학의 각 학과의 실력 등을 제공함으로써 입학을 앞둔 학생들에게 대학과 학과를 선택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는 차원에서 유용하다는 평가 또한 있는 것도 사실이다. 중국의 대학평가기관 중 하나인 중국교우회망의 대학연구단(中国校友会网大学研究团队)은 매년 <2014중국대학평가연구보고(2014中国大学学科专业评价报告)>를 발표해 오고 있다. 지난 2014527일에는 대학별 평가가 아닌 학과 평가인 <2014년 중국대학학과전공평가보고(2014中国大学学科专业评价报告)>를 발표하여 중국 각 지역의 대학 학과 중 우수학과 수를 공개하였다. 이번 중국지식지도에서는 이 보고서에 근거해 중국 우수학과의 지역별 분포를 리포팅하고자 한다.

    

수준분류표.jpg 중국교우회망의 발표한 보고서는 다음의 표와 같이 학과의 전공수준을 구분하여 평가해 오고 있다. 먼저 8성급은 세계최고학과 수준, 7성급은 세계 일류학과, 6성급은 세계 고수준이면서 아시아에서는 일류, 중국에서는 최고수준의 학과 등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번에 실시한 평가에서 중국에서는 8성급(세계최고수준)이나 7성급(세계일류수준)의 학과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장 높은 급수가 6성급 학과였는데 3~6성급까지를 우수학과로 분류하고 있다.

    

 위의 그림에서와 같이 북경시는 427개의 학과가 우수학과로 지정되었다. 북경의 北京大学, 清华大学, 中国人民大学 등이 우수학과를 배출한 주요대학이었는데 이 세 대학 중에서 북경대학이 46개 학과, 청화대학이 44개 학과, 중국인민대학이 22개 학과 순이었다. 6성급 학과가 제일 많은 대학은 청화대학으로 14개 학과가 6성급으로 분류되었는데 이는 북경대학의 13개 학과보다 1개가 더 많다

 

북경 다음으로 우수학과가 많은 지역은 강소성으로 총 341개가 선정되었는데, 南京大学东南大学中国矿业大学 등에서 배출되었다. 강소성의 6성급 학과는 총 13개에 지나지 않아 북경시의 69개의 1/3에 지나지 않았다. 강소성 다음으로 우수학과 많은 지역은 호북성이었다. 상해시나 광동성과 같은 경제가 발전한 지역이 아닌 호북성에서 우수학과가 많이 배출되었다는 점은 의외이다. 호북성은 총 283개의 우수학과를 武汉大学华中科技大学中国地质大学과 같은 대학에서 배출하였다. 이들 학과 중 6성급 학과는 11개로 강소성 보다 2개 적었다. 상해시의 우수학과는 280개로 호북성에 매우 근접해 있고, 광동성은 111개로 1~4위와 격차가 좀 많이 났다. 이 조사에서 알 수 있듯 경제발전 정도와 우수학과 배출 수와는 정확하게 비례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국 성시 중 가장 적은 수의 우수학과를 배출한 지역은 귀주성으로 아예 한 학과 없었고 영하회족자치주에서는 3성급 학과 3곳만이 선정되었다. 주로 北方民族大学에서 나왔다. 청해성에서는 5, 서장장족자치주에서는 6, 해남성에서는 12곳 등의 순이었다. 6성급 이상의 학과가 없는 지역은 총 16개 지역이었고 5성급 이상의 학과가 없는 지역은 총 11, 4성급 이상이 없는 지역은 총 5개 지역이었다.

 

한편 이 보고서는 홍콩, 마카오, 대만의 대학의 우수학과도 조사하여 발표하였는데, 대륙을 제외한 지역 대학 중에서 우수학과가 가장 많은 대학은 홍콩대학(香港大学)으로 총 38개의 우수학과가 선정되었다. 이 중에서 6성급 학과는 5개였다. 대만대학(台湾大学)27개 우수학과(6성급 5), 대만교통대학(台湾交通大学)23(6성급 5), 홍콩중문대학(香港中文大学)24(6성급 4), 대만청화대학(台湾清华大学)21(6성급 4)가 선정되었다.


홍콩대만마카오 대학 우수학과 수.jpg


*본 보고서의 내용은 중국인문사회연구소의 지식생산이므로 인용시 자료원을 명확히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46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1-108] 정사초(鄭思肖) 『심사(心史)』의 주요 특징과 연구상황 file 박영순 2023-01-19 1393
46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3-68] 중국의 지역별 고등교육기관의 분포 현황 file 서상민 2023-01-04 1409
46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1-107] 하분제로(河汾諸老)의 주요 특징과 연구상황 file 박영순 2022-11-23 1487
45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4-97] 지역별 总和生育率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22-10-24 1533
45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6-18] 중국의 ‘온라인 화문교육’ 관련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김주아 2022-10-26 1651
45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5-66] 옌양추(晏陽初) 연구 지식지형 file 최은진 2022-09-14 1877
45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1-106] 시승(詩僧)에 관한 연구동향과 지역분포 file 박영순 2022-09-19 1896
45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3-67] 한중수교 이후 30년간의 한중 지자체 교류 현황(2021.12 현재) file 서상민 2022-10-27 2120
45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4-96] 지역별 社会面清零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22-08-22 2192
45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1-4-89] 지역별 ABS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21-04-24 2519
45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1-2-90] 중국의 도시교류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21-03-28 2569
45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1-4-92] 지역별 边境团场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21-10-20 2596
45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1-4-91] 지역별 支边青年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21-08-25 2639
44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6-4-45] 지역별 公有住房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6-06-21 2645
44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1-4-93] 지역별 人类世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21-12-20 2661
44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6-4-43] 지역별 城管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6-04-16 2678
44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6-16] 중국의 ‘미국 화교화인’ 관련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김주아 2022-06-27 2678
44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7-4-52] 지역별 上海自贸区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7-02-23 2682
44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1-4-90] 지역별 健康码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21-06-23 2684
44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4-94] 지역별 普惠金融 金融科技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22-02-23 2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