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사초(鄭思肖) 심사(心史)의 주요 특징과 연구상황

 


452_문학예술_박영순_-정사초(鄭思肖)-연구-문헌의-지역분포.jpg


자료출처: 中國知網(CNKI)

 



   위 지식지도는 中國知網(CNKI)에서 鄭思肖(정사초)’주제(主題)’로 검색한(검색일: 2023.01.10) 결과 총 64(학술지 논문 48, 학위논문 5, 학술대회 논문 1, 연감수록논문 3)을 토대로 하여, 정사초(鄭思肖)심사(心史)및 연구상황에 대해 약술하고, 연구논문이 실린 학술지(대학 포함)의 지역분포를 그린 것이다.


   정사초(1241-1318)는 송말 시인이자 화가이다. 연강(連江: 현재 복건성 복주시福州市 연강현連江縣) 사람이다. 원명은 지인(之因)이다. 송나라가 망한 후 사초(思肖)’로 개명했으며, ()는 송조의 성() ‘()’의 일부를 취한 것이다. 자를 억옹(憶翁)’이라 한 이유는 고국을 잊지 않겠다는 의미이며, 호를 소남(所南)’이라 한 이유는 일상생활에서조차 늘 남쪽을 향하고 북쪽을 등지고 살겠다는 유민으로서의 의지를 표현한 것이다.


   정사초는 원군(元軍)이 대거 남하할 때 임안(臨安: 현재 항주杭州)에서 황제에게 폐정(弊政)을 거두고 국가의 위엄을 새롭게 다져서 원군에 대항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렸지만 받아들여지지 못했다. 그 후 객이 되어 오() 지역에 머물렀고, 남송이 멸망한 후에는 원나라 조정의 신하가 되기를 거부하고 자칭 고신(孤臣)’이라 불렀다.


   위 64편의 주요 키워드를 정리해 보면, 송말원초(金末元初) 역사적 정권교체기의 남송 유민 정사초를 대상으로 한다. 심사, 일백이십도시집(一百二十圖詩集)및 제화시(題畫詩), 묵난도(墨蘭圖) 등 시화(詩畫)를 주제로 하여, 심사의 진위(眞僞), 영사시(詠史詩)와 제화시, 민족의식과 유민의식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연구논문이 실린 주요 학술지는 소관학원학보(韶關學院學報)·호남대학학보(湖南大學學報)·미술교육연구(美術教育研究)·독서(讀書)·복건상학원학보(福建商學院學報)·청화대학학원학보(清華大學學報)·복건사범대학보(福建師範大學學報)·명작흔상(名作欣賞)·미술대관(美術大觀)등이다. 이들의 지역별 분포(상단 표)를 보면 북경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강소·상해·복건 순이며, 하남·섬서·광동 등이 뒤를 잇는다.

 

   『심사는 정사초의 절개와 기질 및 독특한 행보를 잘 엿볼 수 있는 작품집이다. 정사초는 35세에 송이 망하자 고향을 떠나 오()의 명산과 선원(禪院)을 돌아다니면서 애국의 정조를 반영한 시문(詩文)을 지어 모아 심사로 엮었다. 하지만 당시 시대적 상황에서 시문집을 간행할 수 없었기에, 이를 잘 봉합하여 소주(蘇州) 승천사(承天寺)의 마른 우물 속에 넣어두었다. 그 후 350여 년이 흘러 명 숭정(崇禎) 11(1638)에 이르러서 발견되었다. 철제 상자에 담겨있었고 겉면에 대송 고신 정사초가 백배하고 봉함(大宋孤臣鄭思肖百拜封)”이라고 쓰여 있었다. 그 후 일부 연구자들은 심사의 위서설(僞書說), 문학·사학적 가치 등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정사초는 특히 묵란(墨蘭)을 잘 그렸다. 묵란의 꽃과 잎은 성기었고 뿌리와 흙은 그리지 않았다. 흙이 없는 것은 송의 국토가 이족에게 침탈당했음을 의미했고, 뿌리가 없는 것은 남송이 국가의 기틀을 잃었음을 상징했다. 저서로 정소남선생문집(鄭所南先生文集), 소남옹일백이십도시집(所南翁一百二十圖詩集)등이 있으며 지부족재총서(知不足齋叢書)사부총간(四部叢刊)에 실렸다. 화집으로 국향도권(國香圖卷), 죽권(竹卷)등이 전한다.

 

   『심사는 송말원초 방기(房祺)하분제로시집(河汾諸老詩集), 두본(杜本)곡음(谷音), 오위(吳渭)월천음사시(月泉吟社詩)와 함께 송원교체기의 유민집단과 유민시 연구에 중요한 문헌으로 손꼽힌다.

 

 


* 본 보고서의 내용은 중국인문사회연구소의 지식생산이며 인용 시 자료원을 명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鄭思肖 著·陳福康 校點, 鄭思肖集, 上海古籍出版社, 1991.

王建美, 史家意識與遺民心態: 南宋遺民鄭思肖及其心史』」, 前沿, 2013, 03.

陳天佑·鍾巧靈, 鄭思肖題畫詩論, 江蘇科技大學學報, 2016, 3.

바이두(百度) https://www.baidu.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48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3-71] 중국의 지역별 신에너지자동차 등록 현황(2022년 기준) file 서상민 2023-08-21 920
47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1-110] 동림서원(東林書院)의 특징과 연구 상황 file 박영순 2023-07-21 819
47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5-70] 도시와 향촌 융합 연구 지역지형 file 최은진 2023-07-21 839
47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3-70] 중국 지역별 양로기관 현황(2022년 통계) file 서상민 2023-06-28 931
47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6-22] 중국의 ‘국제학교’ 관련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김주아 2023-06-22 755
47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4-100] 지역별 工业考古学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23-06-13 763
47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5-69] 량수밍(梁漱溟) 연구 지식지형 file 최은진 2023-05-24 904
47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2-99] 중국의 소셜미디어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23-05-23 890
47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6-21] 중국의 '화인여성'에 관한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김주아 2023-04-22 1094
47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1-109] ‘존고비금(尊古卑今)’ 관념의 흐름과 특징 file 박영순 2023-03-23 1167
47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5-68] 중화민족 연구 지식지형 file 최은진 2023-03-22 984
46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2-98 중국의 전자정부 사이트의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23-03-22 1066
46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4-99] 지역별 回迁房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23-02-26 1338
46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3-69] 중국의 지역별 출생률 현황(2022년 중국통계연감) file 서상민 2023-02-25 3612
46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6-20] 중국의 MZ세대에 관한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김주아 2023-02-23 1217
46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2-97] 중국의 ‘대만 인터넷부대(网军)’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23-01-25 1265
»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1-108] 정사초(鄭思肖) 『심사(心史)』의 주요 특징과 연구상황 file 박영순 2023-01-19 1346
46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3-3-68] 중국의 지역별 고등교육기관의 분포 현황 file 서상민 2023-01-04 1371
46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6-19] 중국의 ‘인공지능’ 관련 연구의 지역별 분포 file 김주아 2022-12-21 1338
46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22-4-98] 지역별 马六甲海峡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22-12-21 1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