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 이명희(경희대)

토론: 문상명(성신여대)

 

1. 머리말

2. 호남지역의 개관과 청 후기 사회적 분위기

3. 호남지역 사인들의 지도제작 참여와 그 영향

4. 맺음말

참고문헌

 

1. 머리말

중국의 지역적 특성과 학문 발달을 처음 연계시킨 것은 梁啓超였다. 그는 近代學風之地理的分布 라는 글에서 그의 또 다른 저작 淸代學術槪論말미에 다루었던 分地發展의 개념, 즉 지역에 따른 학문의 발전을 이야기 하며 이것을 더욱 발전시켜야 한다고 이야기 했다. 양계초는 중국의 넓은 영토와 복잡한 민족 구성, 기후 등 자연환경을 언급하며 특히 기후와 산천의 특징이 사람들의 성질에 영향을 주고 이것이 누대에 걸쳐 발휘되어 전해지면 이런 특징들이 다시 대외 교통 및 일체의 물질생활에도 영향을 주어 직간접적으로 사람들의 습관과 사상에도 깊은 영향을 미친다고 했다. 그러므로 같은 국가, 동일한 시간대에서도 문화의 차이가 현저히 나타날 수 있는데 이런 차이는 환경의 영향을 절대적으로 받는다고 분석하고 있다. 본고는 청 후기 지도제작의 변화와 발전에 호남지역 지식인들의 영향이 컸던 것에 주목했다. 당시 중국의 지도의 제작은 두 가지 면에서 큰 변화가 있는데 첫째는 청 전기에 제작되어 민간에는 거의 보급되지 않았던 皇輿全圖가 여러 경로를 통해 알려져 지도의 내용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는 점이며, 둘째는 민간에서의 지도의 출판과 유통이 활발해지고 서양 지도학의 영향을 받아 중국의 지도 제작이 근대화되었다는 점이다. 이런 변화의 과정에서 호남지역의 지식인들이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것은 당시의 사회적 분위기, 이 지역의 학풍, 지식인들의 인적관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사실 청 후기 중국 지도의 변화와 발전 상황을 호남지역 인사의 영향만으로 이야기하기엔 충분하지 않지만 중국의 지도발달사에서 청 후기처럼 한 지역 인사들의 영향이 두드러진 경우도 드물었기 때문에 그 과정을 살펴보는 것도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고는 청 후기 지도제작의 두 가지 변화의 내용을 중심으로 당시의 사회적 분위기 속에 호남지역의 학풍과 학자들이 이런 변화에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고찰하고 그 의의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이명희-湖南지역의 학풍과 士人관계가 청 말기 지도제작에 미친 영향으로 바라본 지역적 특성과 학문 발전과의 관계.pdf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