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대 상하이의 코스모폴리탄 지식인들과 모더니즘 작가들:

현대 중국에서 그들의 가치와 타당성에 대한 재평가

(원제: Cosmopolitan Intellectuals and Modernist Writers in 1930s Shanghai:

On Reassessing their Value and Relevance to China Today)

 

 

발표자: Andrew Field (纽约大学上海中心)

 

 

1930년대 상하이 특유의 사회문화적 환경에 기반한 현대 작가와 지식인들이 나타났는데 Shi Zhecun(施蛰存) Dai Wangshu(戴望舒), Liu Na’ou(刘呐欧), Mu Shiying(穆时英), Shao Xunmei(邵洵美), Ye Lingfeng(叶灵凤)이 그 대표적 인물들이다. 이들은 상하이 모더니스트 혹은 네오퍼셉셔니스트(neo-perceptionist; 新感觉派)로 알려지기도 했는데 세련된 라이프 스타일, 외국 문학에 대한 그들의 심취, 아방가르드적 문학 형식과 스타일의 실험적인 사용, 영화적 서술기법의 도입, 독특한 이데올로기 (혹은 이데올로기의 부재)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시기는 마르크스주의가 중국 지식인의 지배적 이데올로기적 기틀이 되는 시기였으며 동시에 열강들의 제국주의, 특히 공격적이고 폭력적 형태를 띠었던 일본의 제국주의가, 중국 지식인들의 중심적 이데올로기적 관심사로 떠오르는 시기였다. Shen Congwen(沈从文) 과 Lu Xun(鲁迅)과 같은 지식인, 작가들은 도회적인 편안함을 탐닉하고 사소한 것에 강한 집착을 보이는, 민족주의 열정이 부족한 작가들을 비판하기도 했다.

1937년에 일본의 침입으로 모더니즘적 서술방식에 대한 실험은 일단락되게 된다. 전쟁시기 유명한 모더니즘 계열의 작가였던 Liu Na’ou 과 Mu Shiying은 친일 선전기관을 돕다가 결국 상하이에서 암살당했다. 일부 작가들은 해외로 피신했고 중국에 체류했던 대다수는 대중의 신뢰를 잃고 마오 정권시대에 숙청당하게 된다. 마오 정권은 현대 중국문학에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를 고취시켰다. 서구 및 일본에서 들여온 서술방식으로 한 대담한 문학적 실험을 통해 데카당트(decadent)하며 도회적인 생활방식에 주목했던 이들은 마오 시대의 중국에서 설 땅이 없어졌고 점차 잊혀져 갔다.

1980년대에 개혁개방이라는 새로운 틀 안에서 중국 본토의 문학 학자들은 “상하이 스타일” 작가들의 부활을 시도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1990년대에 이러한 작가들과 관한 책들이 중국 대학출판부들에서 나왔고 이들의 단편과 에세이가 재출판되기도 했다. 동시에 중국의 지식인 단체들은 서구권 독자층을 겨냥해 이 작가들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저작물은 미국 대학의 출판부들에서 나왔는데 주로 중국 문학의 새로운 스타일을 구축했던 이들의 모호한 역할을 강조했다. 미국 대학에서 중국 문학을 가르쳐온 당대의 코즈모폴리탄 중국 지식인들은 1930년대의 작가들의 독특한 업적을 강조했고, 1949년 혁명시기, 반제국주의 운동과 현대 중국 민족주의의 틀 안에서 그들의 입장을 부각시켰다.

반제국주의와 국가건설이라는 정치적인 배경 속에서 이 작가들을 설명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나는 “상하이 스타일” 작가들이 중국의 국가적 지위(nationhood)와 세계성(globality)의 인식에 큰 공헌을 했으며 이런 맥락에서 그들을 재평가 해야 한다고 본다. 그들의 도회적인 유희와 라이프 스타일에 대한 탐닉, 그리고 문학작품 속에서 이러한 라이프 스타일과 경험의 반영은 전체적으로 고도자본주의의 도시적 현대성이라는 보편적 상황과 현대도시 공간 내에서 소외되고 파편화 된 개인에 중요한 의미부여를 하고 있다. 비록 일부 비평가들이 이 작가들은 1930년대 상하이의 도시문화를 만들어 낸 “반식민지적인(semicolonical)” 체제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고 평가하고 있으나 나는 이 견해에 전적으로 반대한다. 상하이의 소비 문화의 즐거움과 주마등 같은 변화에 대한 탐색과 묘사를 통해 작가들은 서양적이고 유럽중심적인 세계의 자본주의적인 현대성과 그것이 중국사회에 끼친 영향을 분석하고 비평했다. 중국에서 자주적이고, 노동자 중심의 이상국가를 세우려고 했던 마오의 실패 후 국가에 의해서 변형된 서구형의 세계 자본주의가 출현하고 있으며 중국이 30년 동안 세계 자본주의 도시의 소비 문화를 만드는 가장 큰 공장으로서 위치를 굳건히 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이 작가들의 지적 업적과 출판물들은 현대 중국의 도시적 상황에서 여전히 영속적인 가치와 타당성을 갖고 있는 나타났다. 소설, 시 그리고 영화와 같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서, 이 작가들은 비판적인 시각으로 현대적인 상하이의 상태를 분석하고 있다. 그들의 분석은 현대 중국의 이주자들과 도시생활에도 적용가능하며 여전히 강한 설득력을 가지고 있다.

이 작가들의 공헌에 대해서 토론하기 전에, 지식인(intellectual) 이라는 용어를 정의하는 것은 중요하다. 서구의 표준에 따르면 지식인은 세계에 대해서 광범위한 호기심을 지니며 관심분야를 체계적으로 탐구하면서 학술적이거나 문학적인 혹은 예술적인 형태로 그 결과물을 대중에게 알리는 사람을 일컫는다. 지식인은 마르크시즘이나 포스트모더니즘 같은 이데올로기적인 틀에 맞춰 연구 결과를 조정 할 수 있지만 그 틀에 묶여있는 것은 아니다. 그들의 연구 결과물은 꼭 직접적인 정치적 파장을 일으키지도 않으며 특정한 정치적 대의를 위한 것도 아니다. 많은 저명 지식인들이 정치적 행동주의를 표방하고 그것을 실행에 옮기기도 하지만, 대다수는 지적 성과물로 의사를 전달하고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그것의 정치적 의미를 해석하게 하는 걸로 만족한다.

이 정의에 의하면 1930년대에 나타난 유럽세계를 이끌었던 지식인 중 한 사람은 Walter Benjamin이다. 그의 영향력은 당시에 크지 않았고 1940년 사망으로 연구는 슬프게도 중지되었지만, 그의 업적들은 보존되어왔고 전파되었다. 그는 당대 선도적인 서양 문학비평가 및 사회 비평가 중 하나로 떠올랐다. Benjamin은 대표작, ‘The Arcades Project’에서 놀라울 정도로 세밀하게 현대 도시생활 상황을 묘사해냈다. ‘The Arcades Project’는 1930년대 파리 국립 도서관에서의 연구결과가 반영된 미완성 프로젝트였다. 이 프로젝트는 이후 엄청나게 인용되었고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하버드 대학 출판부에 의해 몇 개의 영역으로 정리되어 영문으로 번역 출판되었다. Benjamin의 Arcades Project는 “20세기 문학의 비평, 역사 그리고 중요한 이론의 기념비적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선도적인 Benjamin 연구자인 Susan Buck-Morss는 “Passagen-Werk(ArcadeProject)의 이론적인 틀은 불후의 결과물이며, 꿈의 세계로서 사회심리학적인 현대성의 이론이고 또한 그것으로부터 집단적 ‘깨어남’의 개념으로 이는 혁명적 집단 의식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고 평가했다.

나는 저서 “Shanghai’s Dancing World: cabaret Culture and Urban Politics, 1919-1954” 의 도입부분에서 Walter Benjamin 과 Mu Shiying사이를 분석했다. 두 사람 모두 마르크스나 프로이트와 같은 사회학 심리학 이론가에게 큰 영향을 받았으며 그들의 작품에서 들어난 것처럼 현대적 도시생활의 주마등 같은 변화를 비평적으로 탐색하고 분석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모두 세계 2차 대전에서 비극적 죽음을 맞이했다. Mu Shiying의 개인적인 배경과 정치적인 배경은 오늘날 중국의 학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 다시 언급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오히려 나는 Mu shiying의 카바레 문화 분석에 집중하여 그에게 있어서 상하이의 카바레는 19세기와 20세기 초에 나타난 세계 자본주의의 새 시대를 정의하는 도시 현대성의 중요한 수단으로서 Benjamin의 Paris Arcade처럼 유기적 기능을 수행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그는 현대 도시에 관한 깊은 통찰력을 1930년대 상하이 카바레에 대한 탐닉을 통해 발전 시켰다. 이러한 공간의 존재를 기리는 것 보다, Mu는 더 포괄적인 사회경제적인 틀 안에서 현대 거대도시 내 카바레의 다양한 측면을 맥락화하면서 도시의 카바레 문화에 대한 비판적인 분석을 제공했다. 그는 이것을 비평적이며 학술적 분석을 통해서가 아니라 (Mu는 Benjamin과 달리 학자가 아니며 문학박사학위도 없었다.) 단편을 통해서 수행했다. 서양과 일본으로부터의 문학의 모더니즘의 기술을 사용하면서, Mu는 주마등 같이 변화하는 현대도시적 특성에 관한 비평적 메시지를 상하이의 대중들에게 전달하기 위해서 도시의 카바레 문화에 대해서 서술했다. 그의 글은 Les Contemporains(现代)같은 엘리트 문학지 뿐 만 아니라, Liangyou(良友)같은 대중적 잡지에서도 출간되었다. Mu는 지식인들의 좁은 세계와 대중 독자들의 넓은 세계를 이어주는 다리역할로써 아방가르드 소설을 사용한 것이다. 또한 이것은 상하이 스타일의 지식인들이 그들의 저작물로부터 돈을 벌고 싶어하는 욕구와 바람을 반영한 것이기도 했다.

1930년대 초에 Mu Shiying에 의해 편찬된 몇몇 단편들은 중국 카바레 문화의 등장에 촛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카바레 문화는 당시 Hollywood 영화와 중국영화와 함께 흥미진진하고 복잡한 시스템을 이루며 당시 현대 거대 도시 안에서 진화해 나갔다. Leo Ou-fan Lee(李欧梵)는 그의 상하이의 모더니즘 작가들에 대한 탁월한 연구에서 현대 상하이의 도시생활에서 카페와 기타 사회적이고 문화적인 공간과 함께 극장이나 무도장의 역할을 강조했고, 어떻게 이 공간들이 모더니즘 작가들의 관념, 행동 그리고 문학의 결과물에 영향을 끼치는지 보여주었다. Mu Shiying도 예외는 아니었다. 1930년대에 그는 아름답고 젊은 호스티스들과 연애를 하면서 도시의 카바레에서 많은 밤을 보냈다. 그는 심지어 홍콩으로 상하이 카바레 호스티스를 따라가서 결혼까지 했다. 또한 Mu는 영화에 관심 있었고, 문학지 뿐 아니라 영화를 위한 글을 쓰기도 했으며 Night Pearl (夜明珠)라는 상하이 댄스 호스티스의 비극적인 삶에 대한 영화를 감독하기도 했다. 사실상 상하이의 댄스 호스티스에 대한 영화와 소설적 묘사(fictional portrayals)는 그 당시에 흔하지 않았다. 그러나 Mu의 작품은 다른 영화, 심지어 The New Year’s coin(压岁钱, 张石川감독)을 통해 도시의 무도장 문화를 부정적으로 묘사했고 그것(무도장문화)을 현대 중국의 민족주의 정신과 비교했던 작가 Xia Yan(夏衍)과 같은 좌익 계열 영화 제작자가 만든 영화 보다 한 단계 더 나간 비평적 분석을 보여주었다.

Mu Shiying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작은 도시의 카바레 문화 장면을 나타낸, “Shanghai Foxtrot(上海的狐步舞)” 이다. Yuan Muzhi(袁牧之)의 영화에서처럼 카바레는 현대 도시 생활의 파노라마적이고 영화 같은 몽타주를 나타내는 도시환경 중 하나일 뿐이다. 이 환경들은 상하이의 엘리트들의 호화 주택에서부터 그들의 불법적인 밀회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호텔, 유명 배우들이 함께했던 거리의 생활, 현대성에 의해 뒤쳐진 도시 빈민들이 자신의 존재를 지탱해갔던 빈민가로 이어진다. 사실상 영화 New Year’s Coin가 Mu의 저서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는 것은 믿기 힘들다.

Mu의 작품” Shanghai Foxtrot”은 간단한 모티프(motif)를 택하지 않고 스포츠카로 상해의 밤을 질주하는 젊은 커플, 청년과 나이차이가 많이 나지 않은 새 어머니의 움직임을 포착한다. 자동차, 특히 밝은 색깔의 전형적 스포츠카는 Mu가 이끌어나갔던 모더니즘 문학에서 흔히 사용된 모티프였다. 이는 자체적으로 속력과 매력을 의미하는 것이며 동시에 빠른 속도의 도시적 환경을 통해 캐릭터를 끌고 나간다. 동시에 이는 도시 현대성의 빨라진 속도를 표현하는 것이기도 하다. 도시의 변두리에서 중심까지의 여정 동안, 그들은 가로등(서구 도시의 상징이며 도시의 밤에 반드시 필요한 것)을 지난다. 그 가로등은 그들이 지날 때마다 불이 켜졌으며 Mu는 이를 코러스라인의 다리(할리우드 영화와 그 때의 무도장에서 발견되는 서구의 현대성의 또 다른 상징)와 비교하였다. 지나가는 기차(서구가 영향을 준 가속화된 현대성의 또 다른 상징)는 재즈 오케스트라의 드럼 비트와 비슷한 소리를 만들었다.

상하이에서 가장 교통체증이 심한 Tibet Road(西藏路)와 Nanjing Road(南京路)의 모퉁이에 위치한 카바레에 도착해서, 젊은 남녀는 재즈의 리듬 속에 몸을 맡긴다. Mu는 카바레 같은 느낌을 살리기 위해서 실험적이고 창의적인 스타일로 서술한다. 그는 반복을 통해 카바레에서의 춤과 테이블에서의 기다림 그리고 그 곳에서 발견할 수 있는 다른 행동들을 전달한다. 그의 댄서들을 무대 위에서 부유하는 (floating) 것처럼 묘사한 무의식적인 문체는 Marc Chagall 와 Franz Kafka와 같은 유럽의 위대한 예술가를 연상시킨다. 또한 그는 추파를 던지거나 댄스파트너를 나누는 것과 같은 카바레에서의 행동(cabaret behavior)에 주목하면서 카바레 행동에 대해 자기민족중심적이고 영화적 탐구를 하기도 했다. 이는 호텔에서 은밀한 밀회장면으로 이어진다. 여기서 외국인의 등장도 주목할 만 하다 -무도회장 무대에 있는 어떤 이는 프랑스 신사인척 하는 벨기에 보석상이다-.

Mu에게 댄서와 재즈가 있는 카바레는 현대 도시의 소우주였다. Benjamin은 카바레에 대해서 쓰지는 않았지만 (현대 파리의 문화의 중요성에 대해서 생각해 보면 그의 글에 카바레가 빠져있다는 것은 매우 흥미롭다), 프랑크푸르트 학파였으며 비판적인 사상가였던 그의 독일계 유태인 동료 Siegfried Kracauer는 재즈 댄스 클럽에 대한 글을 쓰기도 했는데 그는 댄서들의 활동이 현대 도시생활의 기계화를 의미한다고 주장하면서 이 댄서들을 현대 도시 산업 경제의 공장 인부들과 비교했다. 개인적인 견해로 볼 때 사교적 춤 (social dancing)에 대한 그의 비평이 심도 있는 것은 아니지만, Kracauer의 비평은 무대 위 댄서들의 세계와 유한계급을 뒷받침하는 노동의 세계 사이의 연결을 강조하는 것이었다. 사실 두 세계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으며 현재에도 그렇다. 산업혁명으로 Hollywood 스타일의 영화와 사교춤으로 가장 극명하게 표현되는 도시소비사회가 형성되었으며 이는 1919년 1차 대전 이후 전세계로 급격히 퍼져나갔다. 백화점과 기타 오락위락시설과 마찬가지로 영화관과 댄스 홀은 도시의 주마등 같은 변화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장소이다. 또한 이 곳은 도시의 일회적 쾌락이 드러나며 실체 없는 환상과 욕망이 도시대중들을 위해 생산되는 곳이기도 하다. 나는 Mu Shiying의 사례와 그가 댄스 홀에 매료되었던 것에 대해서만 언급했을 뿐이다. 그러나 대부분 작가들은 변화무쌍한 도시의 다양한 특징을 조사하고 있는데 나는 그들의 현대 도시생활에 대한 묘사는 미국, 일본 그리고 독일에서의 사회학자와 민족지(誌)학자들(ethnographers)의 작업처럼 집단적인 가치를 지닌다고 생각한다. 환상과 욕망을 창조해내는 중요한 공간으로 회귀하는 상하이와, 그곳의 나이트 클럽, 바, 백화점, 극장 그리고 유흥시설보다 이 작가들의 훌륭한 업적은 훨씬 더 위대하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바랍니다.

 

Cosmopolitan Intellectuals and Modernist Writers in 1930s Shanghai_Andrew Field.pdf

 

 

11앤드류.jpg 

 

 

크기변환_앤드류2.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 HK 제2차 국제학술회의 议题三 [12주제] 中国近代史”学科史之一页:郭廷以的早期学行及与罗家伦、蒋廷黻的交往 file HK 연구사업단 2011-11-17 16071
45 HK 제2차 국제학술회의 议题三 [13주제] 国家与近代中国大学“实科”之发展——中央大学的例子 file HK 연구사업단 2011-11-17 14579
44 HK 제2차 국제학술회의 议题四 [14주제] 西方政治思想中国家规模与民主主义的关系及其对中国政治发展的启示 file HK 연구사업단 2011-11-17 15617
43 HK 제2차 국제학술회의 议题四 [15주제] 晚清中文读物里华盛顿形象的演变 file HK 연구사업단 2011-11-17 16352
42 HK 제2차 국제학술회의 议题四 [16주제] 清末上海的日文报纸——关于《上海新报》 file HK 연구사업단 2011-11-17 16849
41 HK 제2차 국제학술회의 议题四 [17주제] 张君劢与西方政治学的引进 file HK 연구사업단 2011-11-17 15288
40 HK 제2차 국제학술회의 议题四 [18주제] 《列国政要》与清末高层官员的东西方认知 file HK 연구사업단 2011-11-17 15346
39 [제2회 HK국제학술회의] 新知识 新学科 新职业 file HK 연구사업단 2011-08-10 17568
38 [제2회 HK국내학술회의] 동북아 지역의 지식형성 매커니즘:중국,일본,러시아 비교 file HK 연구사업단 2011-04-13 18560
37 HK 제2차 국내학술회의 제4세션 [제8주제] 중국 외교정책 생산기제와 싱크탱크:조어도 문제를 중심으로 file HK 연구사업단 2011-04-12 16312
36 HK 제2차 국내학술회의 제4세션 [제7주제] 일본에서의 지식형성 매커니즘 연구:열린 지역주의 개념 형성을 중심으로 file HK 연구사업단 2011-04-12 15863
35 HK 제2차 국내학술회의 제3세션 [제6주제] 중국의 나노과학기술 연구와 산업화 file HK 연구사업단 2011-04-12 19124
34 HK 제2차 국내학술회의 제3세션 [제5주제] 러시아의 체제전환과 올리가르히 file HK 연구사업단 2011-04-12 18113
33 HK 제2차 국내학술회의 제2세션 [제4주제] 글로벌화에 따른 일본적 가치의 변용:단일민족국가관에서 다문화공생으로의 사회적인식의 형성 file HK 연구사업단 2011-04-12 16846
32 HK 제2차 국내학술회의 제2세션 [제3주제] 중국과학기술 지식 보급에 있어서 신문의 역할 file HK 연구사업단 2011-04-12 17530
31 HK 제2차 국내학술회의 제1세션 [제2주제] 중국현대미술의 동시대성 file HK 연구사업단 2011-04-12 17793
30 HK 제2차 국내학술회의 제1세션 [제1주제] 현대러시아의 학문구조와 문화학의 등장 file HK 연구사업단 2011-04-12 18191
29 [제1회 HK국제학술회의] 중국의 지식,지식인의 형성과 패러다임의 변화 file HK 연구사업단 2011-03-14 18478
28 HK 연구사업관련 주요 문헌자료 목록 file HK 연구 사업단 2010-12-08 15272
27 [제1회 HK국제학술회의] 3부 [8주제] : 梁启超"东学"再考 file HK연구사업단 2010-10-28 175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