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生態文學의 연구 상황

 

 

 

201506지도.jpg

 

 

 

출처: 中國智網(CNKI)

 

 

   위 지도는 中國智網(CNKI)에서 生態文學을 제목(題名)으로 검색한 결과(검색일자:612) 486편 논문을 토대로 작성한 것이다. 참고로 이 가운데 주제(主題)’로 검색한 석·박학위논문은 총389이며, 제목(題名)의 경우는 41편이다.

 

   현재 우리는 지구상의 생태환경, 환경오염, 동식물 멸종 등 수많은 생태환경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 최근 중국 역시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인해 자원남용, 환경오염 등 심각한 생태위기에 몸살을 앓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2000년도 중후반부터 문학에서도 생태문학이 본격적으로 출현하게 되었다. 생태문학은 당대문학이 사회적인 환경문제의 위기와 문학 자체의 새로운 영역의 발전(인터넷문학, 판타지문학, 휴대폰문학 등 문학 장르는 물론 창작관념, 서술방식, 서술 언어 등 표현기법 등의 변화)으로 인해 출현한 새로운 문학 유형이다.

 

   다음으로 생태문학을 제목으로 한 실제 연구 상황에 대한 요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논문의 관건사를 보면, 생태문학, 생태비평, 생태의식, 인류중심주의, 인간과 자연, 자연, 정신생태, 생태위기, 사회생태 등이 주를 이루었다. 둘째, 연구 성과의 지역별 분포를 보면, 요령(26), 복건(24), 길림(23)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감숙(19), 절강(18)이며, 이를 이어 강소, 하북(14), 하남(13), 호남(12), 호북(11), 강서, 산동, 상해(10) 및 내몽고, 사천(8), 북경, 광동(7), 귀주, 흑룡강(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별로 보면, 하문대학(22), 동북사범대학(12), 난주교통대학(11), 심양대학(10) 등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길림대학, 호남공업대학(8), 절강농림대학(7), 난주대학, 남경임업대학, 귀주사범대학, 절강대학, 남창항공대학, 산동사범대학(6)이며, 이어서 요령대학, 소주대학, 안휘농업대학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발표시기로 보면, 90년대 후반 4-5편으로 시작으로 하여, 2000년대 초에 서서히 주목으로 보이다가 2000중후반부터는 본격적인 연구가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중국 문학 속의 생태문학의 발전추세를 보면 다음과 같다. 1980, 90년대는 생태문학의 준비단계로서 주로 환경문제와 생태위기가 문학창작의 새로운 제재로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점차 생태관념에 대한 인식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이를 테면, 농업문명의 파괴와 이에 따른 자연의 생존공간의 오염 등과 같은 문제에 집중하였고, 이를 통해 지구의 생태위기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키고자 했다. 쉬강(徐剛) 벌목자여, 깨어나다!伐木者, 醒來, 대지에 귀기울이다傾聽大地, 천구이디(陳桂棣) 화이허의 경고淮河的警告등이 대표적인 작품이다그 후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생태문학은 생명의 평등의식과 공존의 생태의식 및 전통적 인류중심주의에 대한 의혹 등 다양한 인식과 문제로 확대되었다. 보다 넓은 의미에서의 생명평등이라는 관념을 통해 인류사회의 윤리에 도전장을 던졌으며, 이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탐구하는 생태문학의 열기로 고조되어갔다. 이 단계의 생태문학은 과거에 추악하고 잔인·교활한 이미지의 맹수들에 대한 재조명하는 작품들이 다양하게 선보였다. 왕펑린(王鳳麟) 늑대계곡野狼出没的山谷, 선스시(沈石溪) 잿빛 늑대 떼殘狼灰滿, 자핑야오(賈平凹) 늑대를 회고하며懷念狼, 장룽(姜戎) 늑대토템狼圖騰등이 대표적이다  

 

   이처럼 생태문학은 관건사 및 대표적인 작품에서도 보여주듯이, 생태문제와 인문환경, 자연환경 심지어 사회환경 문제까지 연결하여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본 보고서의 내용은 중국인문사회연구소의 지식생산이며 인용 시 자료원을 명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2 [현대 중국 지식지형 리포트:2015-5-38] 중국의 '중국학' 연구 지형 file 최은진 2015-06-22 3367
»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1-45] 중국의 ‘生態文學’의 연구 상황 file 박영순 2015-06-21 3477
20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2-40] 중국의 양안교육 연구동향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5-05-26 2739
19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4-32] 지역별 生态治理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5-05-21 3189
19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1-44] ‘문화보수주의’의 출현과 연구 상황 file 박영순 2015-05-20 3419
19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5-3-39] 2014년 중국 도시주민 일인당 가처분 소득의 지역별 분포와 성장률 file 서상민 2015-04-26 5857
19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2-39] 중국의 양안관계 연구동향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5-04-21 3129
19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4-31] 지역별 积分入户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5-04-21 3018
19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5-3-38] 2014년도 중국 31개 지역의 GDP 총량과 성장률 그리고 그 특징 file 서상민 2015-03-26 8554
19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1-43] '인문학'을 주제로 한 학위논문의 연구상황 file 박영순 2015-03-24 3355
19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5-3-37] 2014년 말 현재, 중국 지역별 대학수와 사립대학 수 분포 현황 file 서상민 2015-02-24 5793
191 [현대 중국 지식지형 리포트 : 2015- 5-37] 공자학원과 국가문화안전 담론 지역지형 file 최은진 2015-02-17 3079
19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4-30] 지역별 劳动过程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5-02-17 3436
18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4-2-38] 중국 소수민족 자치행정구역의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5-02-16 7698
18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1-42] 가오싱젠의 문학지형도 file 박영순 2015-02-10 3650
18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5-3-36] 1998-2014년 《Cell》, 《Nature》, 《Science》지에 논문을 발표한 중국대학들의 소재지역별 논문수 분포와 그 특징 file 서상민 2015-01-22 3426
18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2-37[ 2013년도 중국 NGO의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5-01-19 3443
18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1-41] 국학 교육의 연구 상황 file 박영순 2015-01-19 3040
18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4-29] 지역별 户籍改革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5-01-12 2834
18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4-3-35] 재미 중국 화상사단(華商社團)의 출신지역 분포와 특징 file 서상민 2014-12-29 36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