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2013년도 대만의 중국유학생(陆生) 지역별 분포


200_국정운영_이광수_2011-14년도-대륙-출신-대만-유학생(-生)-지역별-분포.jpg







출처: http://www.huaxia.com/lasd/twzlk/2014/05/3889062.html



한반도의 남북한처럼 동아시아의 또 하나의 분단국가인 중국 대륙과 대만은 2011년부터 대륙의 학생들이 대만대학, 정치대학, 청화대학 등 대만의 100여개 대학에서 대만학생들과 함께 대만 교수들의 강의를 듣고 있다. 2015년에는 1기 졸업생이 배출되었다. 양안관계의 교육교류는 2010 8 19일 대만 입법원이 중국(대륙)학생의 대만유학을 허용하는 법률을 통과시키면서 정식으로 시작되었다. 이에 따라 2011년부터 매년 2000여명의 대륙학생들이 대만 곳곳에서 공부하고 있다.

 

중국과 대만의 교육교류는 일찍부터 시작되었다. 1987년 장경국 총통시기에 대만사람들의 고향방문 즉 중국방문이 시작되기 2년전인 1985년부터 대만 학생들의 대륙 유학을 허용하였으며, 동시에 대륙학생들이 보통 1년 이내의 단기연수를 하는 조치를 허용하였다.

 

2010년 이후 양안교육 인적교류는 중국 학교의 전반적인 위상과 질적 수준이 높아지고, 대만에서 양안관계에 비교적 적극적인 국민당 정부가 들어서면서 확대되었다. 마잉주 정부는 20108 19일 민진당 등 야당인 민진당 등의 반대에도 ‘대륙학생 3(生三法)’ 수정안을 입법원에서 최종 통과시킨 것이다. ‘양안인민관계조례’, ‘대학법’, ‘전문대학교법세 가지 법률의 통과에 따라 2011년도부터 1차로 대륙의 41개 학교의 학력을 인정하면서 대륙학생들을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양안교육 인적교류는 중국 학생의 대만유학 욕구와 대만의 중국대학의 질적수준을 인정하는 교육적 측면과 함께, 중국과 대만 정부의 양안관계 강화라는 정치적 의도가 배경에 깔려있다.

 

하지만 대만 국민당 정부는 대륙유학생제도를 시행하는데 있어서 민진당 등 반대파들의 비판을 고려하여 몇 가지 제한과 불가항목을 유학 허용의 전제조건으로 내세우고 있다. 이른바 ‘3제한, 6불가원칙이다. 즉 먼저 대륙학생들이 입학신청을 할 수 있는 중국대학을 41개로 제한하고, 최대 입학인원을 대만전체 대학입학생의 1%로 제한(2015년에 2%로 정원폭을 늘림)하고, 세번째로  입학 전공학과에서 의학과 안보기술관련 전공학과를 배제하는 등 3가지 제한 조치를 내걸었다. 다음으로는 중국유학생들에게는 장학금 지급금지, 아르바이트 허용금지, 대만 공무원 시험 응시 금지, 졸업 후 대만 취업금지, 의료보험 제공 금지 등 6가지 금지조치도 내걸었다.

 

본래 대륙유학생 정책에 대해 중국대륙은 양안관계 개선을 위해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확대하고자 하는 입장을 갖고 있다. 반면에 대만은 학생교류가 대만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려는 수세적인 입장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대륙유학생 수가 예상외로 정체상태에 있자, 입학허용대학 수를 늘리고, 부분적으로 대만대학의 교수의 연구를 돕는 일자리는 허용하는 등 확대 방침을 내놓았다. 그에 따라 2014년에 기존에 대만의 대학입학생 비율 1%(2,850)로 제한하였던 대륙학생 입학비율을 2%(5,700)으로까지 확대하였다. 그리고 현재 대만에는 1만여명에 가까운 대륙유학생들이 2,300여만명이 거주하는 대만에서 사회구성원의 하나로 대만사람들과 어우러져 살고 있는 것이다.

 

현재 대만에는 복건성, 절강성, 강소성, 광동성, 북경시, 상해시, 호북성, 요녕성 등 8개 지역에서 온 1만여 명의 대륙학생들이 대만대, 교통대, 청화대, 중산대, 정치대, 성공대 등의 국립대학과 담강대, 중국문화대 등의 사립대학을 포함하여 100여개 대학에서 전자공학, 재무금융, 법률, 기업관리, 중문, 경제, 언론홍보, 사회학, 심리학 등 다양한 전공을 선택하여, 각기 학사, 석사, 박사 과정을 수학하고 있다. 대만은 2011년 초기에는 대만과 지리적, 문화적, 혈연적으로 가깝고 인연이 많은 복건, 절강, 강소, 광동 네 지방 성과 북경과 상해 두 대도시 학교 출신 학생들만 유학생으로 받아들였으나, 2013년부터는 호북과 요녕 출신 학생들을 추가로 유학가능대상으로 허용하였다. 지식지도는 이러한 상황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본 보고서의 내용은 중국인문사회연구소의 지식생산이므로 인용시 자료원을 명확히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4-38] 지역별 新东北现象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5-11-24 3033
22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1-49] 중국 영화와 국가이데올로기, 국가이미지의 관계 file 박영순 2015-11-23 3549
22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5-3-43] 중국 각 지역의 교육비 재정지출 규모와 그 특징 file 서상민 2015-10-26 3247
21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4-37] 지역별 地票交易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5-10-26 2811
21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1-48] “주선율”에 관한 연구 상황 file 박영순 2015-10-23 3018
21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2-44] 중국의 자유주의 연구 성과의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5-10-22 2971
»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2-43] 2011-2013년도 대만의 중국유학생(陆生)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5-09-22 3283
21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5-3-42] 2015년 중국인의 인식: 중국인의 중국지역별 호감도(이미지)와 그 특징 file 서상민 2015-09-22 5993
21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4-36] 지역별 城市更新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5-09-20 3172
21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5-3-41] 2015년 상반기 중국 지역별 GDP 증가율 분포와 특징 file 서상민 2015-08-25 5097
212 [현대 중국 지식지형 리포트:2015-5-40] 후스 연구관련 지식 지역지형 file 최은진 2015-08-24 2912
21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2-42 중국 2014년도 지역별 GDP 현황 file 이광수 2015-08-24 4190
21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4-35] 지역별 东北现象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5-08-24 3191
20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1-47] ‘2015년 중국대학평가’ file 박영순 2015-08-19 3518
20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4-34] 지역별 绅士化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5-07-28 3020
20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5-3-40] 2014년도 중국 대입시험 응시생수의 지역별 분포와 그 특징 file 서상민 2015-07-27 6983
20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2-41] 중국의 지방공직자 부패의 지역별 분포 (Ⅱ) file 이광수 2015-07-27 3972
205 [현대 중국 지식지형 리포트:2015-5-39] 푸스녠 연구관련 지식 지역지형 file 최은진 2015-07-27 3239
20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1-46] ‘중국의 이미지(中國形象)’에 대한 연구상황과 특징 file 박영순 2015-07-26 3356
20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4-33] 지역별 城市地标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5-06-22 3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