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선율에 관한 연구 상황

 

 

201510월지도.jpg

 

출처: 中國智網(CNKI)

 

 

   위 지도는 中國智網(CNKI)에서 主旋律을 주제로 검색(검색일자:1022)한 결과를 토대로 작성한 것이다.

 

   주선율은 음악용어로 다성 음악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선율을 말한다. 이 용어가 영화계의 용어로 쓰이게 된 배경은 1979년 덩샤오핑이 4文代會(문학예술공작자대표대회)의 축사에서 비롯되었다. 덩샤오핑은 예술주체와 객체, 정치와 예술, 당의 지도와 예술가의 책임 등 예술창작의 이중적인 면을 언급하였고, 그 후 인민일보등의 매체에서는 어떻게 영화 작업을 할 것인가라는 토론이 열리면서 영화 관념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졌다. 이러한 배경에서 영화계 지도자들은 우리는 영화창작의 주선율이 되어야 한다.”라고 외치면서 주선율이라는 용어가 점차 영화계에 확산되기 시작했다.

 

   그 후 1987년에 重大革命歷史題材影視創作領導小組가 설립되었고, 1988년에는 廣電部와 재정부가 협찬기금(撮制重大題材故事片資助基金)을 마련하였다. 그 후 1991년 국무원은 국가전영사업발전전항자금상교적실시세칙을 제정하고 이어 국가전영사업발전전항기금을 제정하였다. 이처럼 국가 문화부문에서 정책과 제도적 기반을 모두 마련하였다. 이로써 90년대부터 주선율영화는 일상생활에 익숙한 영화용어가 되었고 심지어는 최근 중국 국내영화 시장을 상업영화”, “예술영화”, “주선율영화로 나누기도 한다. 더불어 관방의 의도가 예술 영역에서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는 주선율영화 제작과 그에 대한 연구도 눈낄을 모으고 있다.

 

   中國智網(CNKI)에서 主旋律을 주제로 석·박사학위논문을 검색(검색일자:1022)한 결과 총 2623편이 검색되었다주선율을 연구가 활발한 주요 영역은 주로 영화, 영상예술, 문학, 대학교육, (국제)정치, 신문매체, 기업경제 등이었다. 주요 관건사를 보면, 정치사상교육, 향후대책, 대학생, 주선율영화, 조화사회, 이데올로기 등이었다. 도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연구는 특히 2000대 중반부터 활발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대학별로 보면, 산동사범대학, 길림대학, 동북사범대학, 화중사범대학, 산동대학, 호남사범대학 등에서 상대적으로 논문이 많이 배출되었고, 지역적으로는 산동, 길림, 호북, 호남을 이어 상해, 중경, 강소, 요령 등이 많았다.

 

   최근 시장경제 도입과 영화시장의 확대로 말미암아 최근에는 주선율 영화의 시장성, 상업성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보인다. 이와 더불어 관방의 의도가 예술 영역에서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는 주선율영화와 국가이미지 등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 본 보고서의 내용은 중국인문사회연구소의 지식생산이며 인용 시 자료원을 명확히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2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4-38] 지역별 新东北现象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5-11-24 3033
22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1-49] 중국 영화와 국가이데올로기, 국가이미지의 관계 file 박영순 2015-11-23 3548
22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5-3-43] 중국 각 지역의 교육비 재정지출 규모와 그 특징 file 서상민 2015-10-26 3247
21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4-37] 지역별 地票交易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5-10-26 2811
»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1-48] “주선율”에 관한 연구 상황 file 박영순 2015-10-23 3017
21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2-44] 중국의 자유주의 연구 성과의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5-10-22 2969
21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2-43] 2011-2013년도 대만의 중국유학생(陆生) 지역별 분포 file 이광수 2015-09-22 3283
215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5-3-42] 2015년 중국인의 인식: 중국인의 중국지역별 호감도(이미지)와 그 특징 file 서상민 2015-09-22 5993
21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4-36] 지역별 城市更新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5-09-20 3172
21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5-3-41] 2015년 상반기 중국 지역별 GDP 증가율 분포와 특징 file 서상민 2015-08-25 5097
212 [현대 중국 지식지형 리포트:2015-5-40] 후스 연구관련 지식 지역지형 file 최은진 2015-08-24 2912
211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2-42 중국 2014년도 지역별 GDP 현황 file 이광수 2015-08-24 4190
210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4-35] 지역별 东北现象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5-08-24 3191
209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1-47] ‘2015년 중국대학평가’ file 박영순 2015-08-19 3518
208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4-34] 지역별 绅士化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5-07-28 3020
207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 2015-3-40] 2014년도 중국 대입시험 응시생수의 지역별 분포와 그 특징 file 서상민 2015-07-27 6983
206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2-41] 중국의 지방공직자 부패의 지역별 분포 (Ⅱ) file 이광수 2015-07-27 3972
205 [현대 중국 지식지형 리포트:2015-5-39] 푸스녠 연구관련 지식 지역지형 file 최은진 2015-07-27 3239
204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1-46] ‘중국의 이미지(中國形象)’에 대한 연구상황과 특징 file 박영순 2015-07-26 3356
203 [현대 중국의 지식지형 리포트: 2015-4-33] 지역별 城市地标 관련 논문 수량과 이에 대한 분석 file 박철현 2015-06-22 3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