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 1997년 중국과학원 원사

조회 수 6503 추천 수 0 2012.06.20 15:30:45

정부 산하 연구 기관의 폐쇄성을 극복하기 위해 연구주체를 다원화하는 과학체제 개혁에서 과학기술 진보가 필요한 부문에 대한 집약적인 투자가 필요하다는 방향으로 선회하기 시작하였다.

1997년에는 기술과학부 17, 수학물리학부 9, 생물학부 12, 지학부 10, 화학부 10명으로 총 58명의 원사가 선발되었다. 60대가 50%를 차지하여 원사의 평균연령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국 직후 과학 교육 및 훈련을 받았을 것으로 예상되는 1930년대 출신이 55.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출신지역 분포는 강소성, 절강성, 상해 중심의 화동지역 출신이 여전히 다수를 점하고 있으나 천진, 하북, 북경 등 하북 지역 출신의 비중이 다소 늘어난 특징을 보였다.

학력분포는 1995년에 비해 대졸자는 소폭 증가하고 석사학위자와 박사학위자는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비록 원사의 선발 자격이 강화되었다고는 하나 교육 공백으로 인한 고급 인재 부족 현상이 쉽게 해소되지 못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출신대학 분포를 보면 국내 대학 졸업자가 98.3%로 높은 비율을 점하고 있었으며 북경대학이 가장 많은 원사를 배출하였고 그 뒤를 청화대학과 남경대학이 따르고 있다.

최종학위 취득기관도 국내 학위 취득자가 77.6%로 높은 비율을 점하고 있다. 북경대학, 청화대학, 중국과학원은 각각 8, 6, 5명의 원사를 배출하여 과학교육에 있어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표 1] 1997년 과학원 원사의 구성과 특징

학부

빈도()

퍼센트(%)

출신성

빈도()

퍼센트(%)

강소

10

17.2

기술과학부

17

29.3

절강

7

12.1

수학물리학부

9

15.5

상해

5

8.6

생물학부

12

20.7

천진

4

6.9

지학부

10

17.2

하북

4

6.9

화학부

10

17.2

사천

4

6.9

합계

58

100

북경

3

5.2

선발 당시 연령

빈도()

퍼센트(%)

복건

3

5.2

섬서

3

5.2

40

2

3.4

호남

3

5.2

50

20

34.5

광동

2

3.4

60

29

50

산동

2

3.4

70

7

12.1

호북

2

3.4

합계

58

100

광서

2

3.4

출생년도

빈도()

퍼센트(%)

요녕

1

1.7

1910년대

1

1.7

중경

1

1.7

1920년대

11

19

강서

1

1.7

1930년대

32

55.2

안휘

1

1.7

1940년대

12

20.7

합계

58

100

1950년대

2

3.4

영향력

평균

표준편차

합계

58

100

논문수()

100.43

95.714

학력

빈도()

퍼센트(%)

인용지수()

786.84

973.691

대학

36

62.1

매체저자()

0.741

2.3363

석사학위

12

20.7

매체노출()

2.24

12.369

박사학위

10

17.2

최종학위 취득 기관

빈도()

퍼센트(%)

합계

58

100

북경대학

8

13.8

대학

빈도()

퍼센트(%)

청화대학

6

10.3

중국과학원

5

8.6

북경대

14

24.1

남경대학

3

5.2

청화대

8

13.8

소련과학원

3

5.2

남경대학

4

6.9

무한대학

2

3.4

북경지질학원

3

5.2

교통대학

2

3.4

복단대학

2

3.4

중국과학기술대학

2

3.4

무한대학

2

3.4

사천대학

2

3.4

사천대학

2

3.4

국내

45

77.6

소재지

빈도()

퍼센트(%)

해외

11

19

국내

57

98.3

합계

56

96.6

해외

1

1.7

시스템 결측값

2

3.4

합계

58

100

총합

58

100

 

 

[그림 1]은 교육·연구기관을 통해 형성되는 원사의 연결망을 보여주고 있다. 1997년 원사와 기관의 연결망 구조를 보면 지난 몇 년간 다소 감소하였던 중국과학원의 영향력이 다시 회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대부분의 원사가 중국과학원을 통해 다른 원사와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중국과학원을 구심점으로 하는 원형구조가 형성되어있다.

 

<그림 1>  1997년 과학기관과 원사의 연결망

 

그림1.jpg

 

 

기관

링크

 

 

연결중심성

1

中科院

34

1

沈绪榜

0.701754

2

北京大学

16

2

李启虎

0.684211

3

清华大学

9

3

王育竹

0.666667

4

中国科技大学

5

3

王圩

0.666667

5

南京大学

4

3

雷啸霖

0.666667

5

武汉大学

4

3

童庆禧

0.666667

7

北京地质学院

3

3

朱作言

0.666667

7

交通大学

3

3

许智宏

0.666667

9

南开大学

2

3

方肇伦

0.666667

9

复旦大学

2

3

白春礼

0.666667

9

厦门大学

2

3

张焕乔

0.666667

9

山东大学

2

3

丁伟岳

0.666667

9

浙江大学

2

 

 

 

9

四川大学

2

 

 

 

 

[그림 2]에서도 보듯 연결중심성이 높은 원사의 경우 중국과학원과 북경대학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는 유의미한 인맥관계는 중국과학원과 북경대학을 통해 구축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두 기관에서 경력을 쌓은 원사의 경우 폭넓은 연결망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1997년 연결망에서는 영향력 있는 특정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형성된 원사의 연결망이 보이지 않는데 이는 중국과학원과 북경대학의 중심성이 다른 지역보다 월등히 높기 때문이다. 이처럼 1997년 원사 연결망은 1993년과 1995년보다 다소 집약적인 성격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중국과학원을 중심으로 한 과학체제가 다시 기능을 회복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

 

<그림 2> 1997년 원사 연결중심성과 기관

그림 2.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9 [지식담론] 중국 근대 역사학 지식의 생산 확산 체제와 지형- 머리말 최은진 2012-07-13 6926
» [과학기술] 1997년 중국과학원 원사 file 유정원 2012-06-20 6503
7 [과학기술] 1995년 중국과학원 원사 file 유정원 2012-06-19 7065
6 [과학기술] 1993년 중국과학원 원사 file 유정원 2012-06-05 6645
5 [과학기술] 1991년 중국과학원 원사 file 유정원 2012-05-08 6750
4 [과학기술] 1980년 중국과학원 원사 file 유정원 2012-05-07 7297
3 [과학기술] 1957년 중국과학원 원사 file 유정원 2012-05-02 6607
2 [문학예술] 중국 현당대 문학논쟁의 계보와 문학 지식인(49년이전-1) file 박영순 2012-05-02 8239
1 [과학기술] 1955년 중국과학원 원사 file 유정원 2012-05-01 68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