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지식(인): 인물, 개념, 서책(21)

조회 수 468 추천 수 0 2023.04.04 17:03:35

존고비금(尊古卑今)’ 관념과 관련 인물

 


   ‘존고비금은 중국 고대 문예 영역에서 오랜 시간 동안 이어오던 상고(尙古)’, ‘복고(復古)’ 관념 중의 하나이다. 귀고천금(貴古賤今존고천금(尊古賤今후고박금(厚古薄今귀원천근(貴遠賤近)이라고도 한다. 모두 전통 지식인들의 사고 관념과 문예 비평의 기준이 되는 상고(尙古)’ 현상이자, 이를 비판하는 문예 비평 용어이기도 하다. ‘존고비금은 대체로 선진(先秦)시기 술이부작(述而不作)’에서부터 명대 복고(復古)’까지 이어지는 뿌리 깊은 중국 전통 문예 관념이라 할 수 있다.


   ‘존고비금이란 용어는 먼저 선진시기의 장자·외물(莊子·外物)에 보인다. “대저 옛것을 높이고 지금의 것을 비하하는 것(‘尊古而卑今’)은 학자들의 유폐(流弊)이다.” 지나간 고대를 숭상하는 학자들의 고질적인 병폐를 지적하면서 현재의 문제에 관심을 기울일 것을 강조한 것이다. 선진시기 제자(諸子) 사상가들에게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현상이었다. 극심한 시대의 변화 앞에서 현실의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과 태도가 언제나 유가의 성현과 사상을 준거로 하였고, 현실 문제의 직접적인 원인을 정면적이고 통찰력 있게 바라보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그 후 서한(西漢)의 유안(劉安)회남자·수무훈(淮南子·修務訓)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세속의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옛것을 존중하고 지금의 것을 천하게 여긴다.(‘尊古而賤今’) 그리하여 도를 행하는 자는 반드시 신농씨(神農氏)나 황제(黃帝)에 의탁하여, 결국 사람들에게 그 설을 받아들이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지금 새로운 성인(고대의 성인에 필적하는 當代의 성인)의 책을 가져다가 공자·묵자의 책이라고 말한다면, 그 제자들은 그것을 하나하나 짚어 가며 배우려 할 것이다. 그러므로 미인이 반드시 서시(西施) 같은 유형만 있는 것도 아니고, 세상의 도리에 통달한 사람들이 반드시 공자·묵자 같은 유형의 선비들만 있는 것은 아니다.”



   한나라 초기 사회는 복고적 분위기가 성행하여 당시 문인, 통사(通士)들은 말만 했다 하면 공(()을 내세우고 신농·황제 등 성인의 말에 의탁하여, 자신의 의견이 반드시 그 ()’의 표준에 부합하도록 했고, 그렇지 않으면 지극한 이치라고 여기지 않았다. 또한 한나라 때 문인들이 사로(仕路)를 열어가는 방식 중의 하나는 ()’를 지어 올리거나 ()’에 통달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관직 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후자가 더 중요했다. 따라서 한나라 때의 경학은 국가 경영의 지식이자 학문 범주가 되었고, ()에 통달한다는 것은 과거의 학문에 대해 정통한다는 의미였다. 이런 까닭에 당시 사인들은 더욱더 종경(宗經)’존고천금의 태도를 가졌던 것이다.

 

   나아가 세속에서는 존고천금의 전통적 심리 영향으로 인해 ()’를 표준으로 하여 문장의 고하를 논하게 되었다. 회남자·수무훈은 이러한 잘못된 문예창작과 문예 비평 표준을 지적하였고, 그 후 양한(兩漢) 교체기의 환담(桓譚)신론·민우(新論·閔友)에서 그 관점을 계승하여 당시 한유(漢儒)들의 존고비금의 복고적 문풍에 대해 강렬하게 비판했다. “세상에서 다들 옛것을 존숭하고 지금의 것을 하찮게 여기는 것(‘尊古卑今’)은 사람들이 (과거에) 들은 것은 귀히 여기면서, (현재) 보고 있는 것은 하찮게 여기기 때문이다. 이는 지금의 것을 가볍게 여기는 것이다.”

 

   유안을 이어 환담으로 이어오던 존고천금에 대한 비판적 관점은 동한(東漢)의 왕충(王充)으로 계승되었다. 왕충은 논형·제세(論衡·齊世)에서 존고천금치세(治世)’의 시각에서 논하였다. “이전의 세상을 다스린 자도 성인이고 다음 세상을 다스릴 자도 성인이다. 성인의 덕()은 전후(前後)가 다르지 않으니, 그렇다면 잘 다스려진 세상은 예나 지금이 다름이 없는 것이다.” 나라를 다스리는 기준은 과거 성인만을 기준으로 삼을 게 아니라 현재 사회 현실을 중요하게 돌아보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위진남북조 시대는 일반적으로 문학의 자각 시대라고 불린다. 문예이론과 문학 이론이 발달한 시기이다. 당시 문예 관념과 미학 범주가 심도 있게 논의되면서 존고박금에 대한 관점이 치세(治世)’ 관점에서 문학관점으로 변하였고, 그에 따른 시각과 비판도 있었다. 조비(曹丕)전론·논문(典論·論文)에서 보통 사람들은 멀리 있는 것을 귀하게 여기고, 가까이 있는 것을 천시하며(‘貴遠賤近’), 명성을 향하고 그 실질을 돌아보지 않는다.”라고 했다. 대체로 감상자와 평론가는 고인을 중시하고 지금 사람들을 하찮게 여기므로 명성을 좇는 방향으로 치닫게 되었고, 그로 인해 실제를 중시하지 않다 보니 문학 작품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내릴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유협(劉勰)은 중국 고대 문학 비평의 대표 저작 문심조룡·지음(文心雕龍·知音)에서 예로부터 비평가들은 대부분 동시대인을 가볍게 보고 옛사람을 사모했다.(‘賤同而思古’)”라고 말했다. ‘지음(知音)’이란 문학 감상자와 평론가를 말하며, 이들조차 동시대의 작품이나 관점을 경시하고 이전의 것을 추앙했다는 지적이다. 조비는 이러한 고질적인 현상이 존재하는 요인은 문인들 간에 문인상경(文人相輕: ‘문인들은 서로 경시한다.’ 자신의 문장을 과시하면서 서로의 글을 과소평가하는 풍조)”의 심리가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예를 들어, 반고(班固)와 부의(傅毅)의 관계가 그러하다. 반고와 부의는 문장을 짓는 실력이 서로 비슷했지만, 반고는 이를 인정하지 않고 늘 부의를 얕보면서 비하했다.

 

   이러한 현상은 당나라에 이르러서도 마찬가지였다. 백거이(白居易)여원구서(與元九書)에서 귀로 들은 것(‘’)은 중시하고 눈으로 본 것(‘’)은 천시하며, 옛것을 영화롭게 여기고 지금 것을 비루하게 여기는 것은 사람들의 일반적인 상황이다.”라고 했다. 이후 명대 중기에 이르러 급기야 문학의 복고운동을 제창한 복고파가 출현하게 되었다. 그들은 문장은 반드시 진한(秦漢)의 글을 모방하고, 시는 반드시 성당(盛唐)을 모방해야 한다.”는 문학의 복고를 주장했다.

 

   이러한 귀고천금현상은 중국 문학 관념의 발전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선진에서 양한 시기의 장자·회남자·신론·논형존고비금’, ‘존고천금은 당시 정치·사상영역에서 제자학파와 학술계 전반에 퍼져있는 병폐를 지적한 것이다. 위진남북조 시기에 이르러서도 조비와 유협 등은 귀원천근’, ‘천동사고(賤同思古)’, ‘문인상경등의 병폐를 주장하였고, 이때부터 점차 문예 비평 영역으로 확대되면서 중국 고대 문예 비평 용어로 자리 잡게 되었다. 그 후 명대에 이르러 심지어 문학 유파를 형성하면서 문학의 복고운동으로 노골화되었다.

 

   이처럼 귀원천근관념이 형성되었던 배경과 영향은 무엇인가. 봉건 왕조시대의 언론 자유와 언론 전파는 제한적이었다. 정치[언론]와 지식인의 관계에서 볼 때, 지식인들은 정치적 수요와 통치 질서에 복종하기 위해 자신의 지식의 밑천을 활용하여 통치의 합법성을 확립시키는 데 도움이 되어야 했다. 고대 지식인들의 신분이 문인과 관료라는 이중의 역할을 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한편, 봉건 시대의 왕조는 정권의 합법성을 확립하기 위해 자신의 권력이 하늘로부터 명(‘天命’)을 받았고, 자신은 이를 실현하기 위해 부임 받은 자라고 강조한다. 문인 관료들은 그들의 신비적인위상을 인정하고 왕조의 합법성과 국가 질서를 구축하기 위해 자신들의 지식을 동원해야 했다. 이를 통해 왕권의 안정을 꾀함과 동시에 자신들의 이상과 사상을 실현해 나가는 정치적, 문학적 기반으로 활용했던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관계는 평등한 구조가 아니다. 간언(諫言)으로 인한 역린(逆鱗)의 폐해, 문자옥(文字獄)으로 인한 해독은 모두 말과 글을 전달하는 언로의 통제 속에서 야기된 불행이었다. 물론 언로의 통제는 문인들의 마음속에 불만을 양산했을 것이지만, 정권의 도전이 되는 외줄 타기의 위험을 피하는 한편, 통치 질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적합한 대안이 필요했을 것이다. 이리하여 지식인들은 과거 성인들의 흥망성쇠의 사례를 임금에게 본보기와 귀감의 준거로 제시함으로써 성군이 될 수 있다는 희망과 근거를 제공하는 매개체로 활용했던 것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상고(尙古)’ 정신은 지식인들에게 뿌리 깊은 일종의 집체의식이 되어 갔다.

 

   ‘상고는 중국 전통문화의 비조(鼻祖)인 공자가 말한 선인의 행적과 말씀을 그대로 서술할 뿐 자신의 생각을 더하여 창작하지 않는다.”술이부작(述而不作)’옛것을 믿고 좋아한다.”신이호고(信而好古)’의 정신이 뿌리를 제공한 것이다. 공자가 시·(·)를 편찬하고, ·(·)을 정하고, 주역(周易)을 부연 설명하고, 춘추(春秋)를 편수한 것은 모두 선왕(先王)의 옛것을 전()하고 일찍이 지은 것()이 있지 않았다.”는 것이다. ‘상고정신의 키워드인 ()’은 허용되고 ()’은 허용되지 않는다는 관념은 지식인들에게 독창적인 사상과 언론 자유를 속박하였고 깊은 종경(宗經)’ 의식을 갖게 했다.


   ‘존고천금의 흐름은 선진시기부터 명대에 이르기까지 술이부작, 신이호고->존고천금->문인상경->복고등의 현상으로 이어지면서 추숭과 비판을 거듭하였다. 정치영역에서 학술영역, 문학(문예) 영역으로 확대되면서 뿌리 깊은 상고’, ‘복고정신이 지속되어 왔다.


   이상, ‘귀고천금관련한 인물은 대체로 공자(孔子장자(莊子유안(劉安환담(桓譚왕충(王充조비(曹丕유협(劉勰백거이(白居易) 및 명대 복고파(추후 별도 정리) 등이 있다. 여기서는 주요 인물 6명을 소개한다.

 

 

1. 유안(劉安: BC 179-BC 122)


   본적은 패군(沛郡) 풍현(豐縣: , 강소성 서주시徐州市 풍현豐縣). 회남국(淮南國) 수춘현(壽春縣: , 안휘성 회남시淮南市 수현壽縣)에서 태어났다. 서한(西漢)의 문학가이자 사상가이다. 한 고조(高祖) 유방(劉邦)의 손자이며 회남(淮南) 려왕(厲王) 유장(劉長)의 아들이다.

   유안은 처음에 부릉후(阜陵侯)로 봉해졌다가 한 문제(文帝) 16(BC 164) 회남왕(淮南王)으로 봉해졌다. 책 읽기와 거문고 타기를 좋아하며 소비(蘇非이상(李尚좌오(左吳진유(陳由) 등 빈객(賓客) 방술사(方術士) 수천 명을 불러서 내서(內書)(회남자(淮南子)의 일부) 21권을 지었고 외서(外書)는 더욱 많다. 중편(中篇)8권이 있는데, 신선(神仙) 황백(黃白)의 방술에 대해 언급했다. <이소전(離騷傳)>을 지어 한 무제(武帝)에게 올리기도 했고, 후에 모반 사건이 드러나 자살했다.

   유안은 철학적으로 도가의 자연 천도 관념을 중심으로 하고, 선진(先秦)의 도((음양(陰陽) 등 여러 제자(諸子) 사상을 종합했다. 정치적으로는 무위이치(無爲而治)’를 주장했지만 무위에 대해 새로운 해석을 내세웠고 변고(變古)를 제창했다.

 

2. 환담(桓譚: BC 23-AD 56)

 

   자 군산(君山), 패국상(沛國相: , 안휘성 회북시淮北市 상산구相山區) 사람이다. 동한(東漢)의 철학가이자 경학가이며 금사(琴師)이자 천문학자이다. 환담은 음률(音律)에 정통하고 거문고를 잘 탔다. 박학하며 오경(五經)에 정통하였고 속유(俗儒)들을 비판했다. 고학(古學)을 좋아하였고 유흠(劉歆양웅(楊雄)에게 수학했으며, 고학을 통해 현재의 시정(時政)을 바로잡고자 했다.

   애제(哀帝평제(平帝) 때에 지위가 랑()이었다가 왕망(王莽) 시기에는 장악대부(掌樂大夫)에 올랐다. 유현(劉玄)이 즉위하여 태중대부(太中大夫)로 제수받았고, 광무제(光武帝) 때는 의랑급사중(議郎給事中)으로 제수받았다.

   광무제 때에 참()을 가지고 정치를 펼치자, 환담은 ()은 경()이 아니다.”라고 하면서 참위신학(讖緯神學)을 극렬하게 반대하여, 결국 광무제의 노여움을 사서 육안군(六安郡)의 승()으로 폄적되어 가다가 길에서 병사했다.

   그는 양초를 가지고 사람의 형체에 비유하곤 했다. 사람의 정신은 형체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으며, 이는 촛불이 양초 몸체를 벗어나 존재할 수 없는 것과 같다고 했다. 이는 후대 무신론(無神論) 사상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저작으로 신론(新論)29편이 있다. 이는 육가(陸賈) 신어(新語), 유향(劉向) 신서(新序)를 이은 것으로, 한대 유가 사상의 변천을 소개한 중요한 문헌이다. 문장으로 <선부(仙賦)>·<진시정소(陳時政疏)>·<억참중상소(抑讖重賞疏)> 등이 전해지며(예문유취(藝文類聚)에 수록), 생평에 관해서는 후한서(後漢書환담전(桓譚傳)이 전한다.

 

3. 왕충(王充: 27-104)

 

   자 중임(仲任). 회계(會稽) 상우(上虞: , 절강성 소흥紹興)에서 출생했다. 동한의 사상가이자 문학비평가이다. 어려서부터 배우기를 좋아하여 여러 책을 넓게 섭렵했으며 특히 논변에 뛰어났다. 후에 고향을 떠나 경사(京師) 낙양(洛陽)에 이르러 태학(太學)에서 수학했고, 반표(班彪)를 스승으로 따랐다. 늘 낙양의 저잣거리를 두루 돌아다니며 책을 읽었다. 근실하게 배웠으며 기억력도 뛰어나서 한번 본 것은 거의 다 기억할 정도였다고 한다.

   왕충의 사람됨은 부귀나 고관을 탐하지 않았다. 일찍이 군공조(郡功曹주종사(州從事) 등의 작은 관직을 맡았었으나, 정치적 주장이 상사(上司)와 맞지 않아서 폄적되거나 폐출되기도 했다. 후에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와 저술에 전념했다. 만년에 한 장제(章帝)가 예를 갖춰 초빙을 했지만 응하지 않았다. 화제(和帝) 영년(永元) 원년에 집에서 생을 마감했다.

   왕충은 한대 도가사상의 중요한 전승자이다. 그 사상은 도가의 자연무위(自然無爲)를 종지(宗旨)로 삼았다. ‘()’을 천도관(天道觀)의 최고 범주로 삼고 ()’를 핵심 범주로 삼는 유물론을 주장했다. 또한 성인의 절대화에 반대하고 천인감응론(天人感應論)이나 참위설(讖緯說)을 비판하였다. 그의 사상이 비록 도가에 속하지만 선진(先秦) 시기 노장사상과는 차이가 있고, 한대 도가사상의 주창자이지만 한대 초기 조정에서 표방한 황로학(黃老學) 및 서한 말 민간에서 유행하던 도교와는 차이가 있다. 그는 신비에 대해 실증을 우연에 대해 필연을 주장하는 실제적이고 논리적인 유물론적 사상을 전개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 논형(論衡)이 있다.

 

4. 조비(曹丕: 187-226)

 

   자 자환(子桓). 패국(沛國) 초현(譙縣: , 안휘성 박주시亳州市) 사람이다. 삼국(三國) 시대의 정치가이자 문학가이다. () 무제(武帝) 조조(曹操)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무선황후(武宣皇後) 변부인(卞夫人)이다. 조비는 문무를 갖추었고 경전(經傳)을 두루 섭렵했으며 특히 제자백가 학설에 정통했다. 건안(建安) 22(217) 위국(魏國)의 세자가 되었다가 건안 25(220)에 승상(丞相)을 이어 위 문제(文帝)가 되었다.

   재위 기간에 이부상서(吏部尚書) 진군(陳群)의 의견을 받아들여 구품중정제(九品中正制)를 제정하여 실시했다.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시기의 주요 선관(選官) 제도가 되었다. 또한 대내적으로는 청주(青州서주(徐州) 일대의 할거 세력을 평정하여 북방 지역의 통일을 이루었다. 대외적으로는 변방의 환란을 평정하여 선비(鮮卑)를 격퇴하고 흉노(匈奴(() 등의 외이(外夷)와 수호를 맺어 서역을 회복했다.

   황초(黃初) 75월 정사일(丁巳日: 226629)에 낙양에서 40세의 나이로 병사했다. 시호(諡號)는 문황제(文皇帝)이며 묘호(廟號)는 고조(高祖)이다. 수양릉(首陽陵)에 안장되었다. 그는 시(() 등 문학에 능하였고 특히 오언시(五言詩)에 뛰어났다. 아버지 조조와 동생 조식(曹植)과 함께 건안삼조(建安三曹)’라고 일컬었다. 현재 위문제집(魏文帝集)2권이 전한다. 저서로 전론(典論)이 있고 이 가운데 <논문(論文)>은 중국 문학사에서 가장 일찍 체계를 갖춘 전문적인 문학비평 저작으로 일컫는다.

 

5. 유협(劉勰: 465-521)

 

   자 언화(彥和). 동관군(東莞郡) 려현(莒縣: , 산동성 일조시日照市 려현莒縣 동완진東莞鎭) 사람이다. 남조(南朝) () 나라의 대신(大臣)이자 문학이론 비평가이다. 유송(劉宋)의 월기교위(越騎校尉) 유상(劉尚)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집안이 가난했으나 독실하게 공부하였고 명승(名僧) 승우(僧祐)에게서 유가와 불가 이론을 공부했다. 그는 문심조룡(文心雕龍)을 지어 당시 재상 심약(沈約)의 칭찬을 받았고, 심약을 이를 조정에 올렸다. 후에 임천왕(臨川王: 소굉蕭宏)기실(記室보병교위(步兵校尉태자통사사인(太子通事舍人)의 벼슬에 올랐다.

   소명태자(昭明太子) 소통(蕭統)의 신임이 두터웠으며, 유협의 창작이론은 소명태자 문선(文選)편찬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후에 소명태자가 세상을 떠나자, 그는 깊은 상심에 빠져 출가를 청하였으나 양무제(梁武帝)의 허락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후에 혜지(慧地)라는 법호(法號)를 받았고, 남경의 정림사(定林寺)에서 출가·입멸(入滅)했다.

   《문심조룡은 고금의 문체와 작법에 대해 논했으며, 유지기(劉知幾)사통(史通), 장학성(章學誠)문사통의(文史通義)와 함께 문사(文史) 비평의 3대 명저로 손꼽히며, 중국 문학 비평사의 지위를 확립시킨 명저로 인정받았다.


6. 백거이(白居易: 772-846)


   자 낙천(樂天), 호 향산거사(香山居士) 또는 취음선생(醉吟先生). 본적은 산서(山西) 태원(太原)이며, 하남(河南) 낙양(洛陽) 신정(新鄭)에서 태어났다. 당나라의 대표적인 현실주의 시인이다. 원진(元稹)과 함께 신악부운동(新樂府運動)을 제창하여 세상에서 원백(元白)’이라 불렀고, 유우석(劉禹錫)과 함께 유백(劉白)’이라고도 불렸다. 백거이의 시는 민중 속으로 파고들어 민간의 입에 회자되었다. 시가 제재는 광범위하고 형식도 다양하며 언어는 평이하고 통속적이었다. ‘시마(詩魔)’ 또는 시왕(詩王)’으로 일컫기도 한다.

   36세에 한림학사(翰林學士)가 되었고 이듬해에 좌습유(左拾遺)가 되어 유교적 입장에서 정치 사회를 비판했다. 당시 대표적인 작품 신악부(新樂府)를 썼다. 그 후 태자소부(太子少傅)와 형부상서(刑部尚書) 등에 올랐고 후에 풍익현후(馮翊縣侯)로 봉해졌다. 저서로 백씨장경집(白氏長慶集)이 전한다. 대표적인 시작품으로 <장한가(長恨歌)>·<매탄옹(賣炭翁)>·<비파행(琵琶行)> 등이 있다. 846년 낙양에서 생을 마감했다. 용문(龍門) 향산(香山)에 안장되었다.

 


 

[참고문헌]

趙則誠·張連弟·筆萬忱 主編, 中國古代文學理論辭典, 吉林文史出版社, 1985.

安曉東, 貴古賤今, 西安建筑科技大學學報, 2012-12-25

陳恩維, 中國復古文學思想的歷史與邏輯起點, 東方叢刊, 2003-12-01

孫寶妹, 論王充反復古倡獨創的文學觀, 漳州師院學報, 1995-03-30

百度 https://www.baidu.com/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7 문학 지식(인): 인물, 개념, 서책(23) 박영순 2023-08-01 360
86 문학 지식(인): 인물, 개념, 서책(22) 박영순 2023-06-10 337
» 문학 지식(인): 인물, 개념, 서책(21) 박영순 2023-04-04 468
84 문학 지식(인): 인물, 개념, 서책(20) 박영순 2023-02-16 514
83 문학 지식(인): 인물, 개념, 서책(19) 박영순 2022-12-07 627
82 문학 지식(인): 인물, 개념, 서책(18) 박영순 2022-10-06 604
81 문학 지식(인): 인물, 개념, 서책(17) 박영순 2022-08-08 859
80 문학 지식(인): 인물, 개념, 서책(16) 박영순 2022-06-01 941
79 문학 지식(인): 인물, 개념, 서책(15) 박영순 2022-04-04 1218
78 문학 지식(인): 인물, 개념, 서책(14) 박영순 2022-03-06 1330
77 문학 지식(인): 인물, 개념, 서책(13) 박영순 2021-12-15 1139
76 문학 지식(인): 인물, 개념, 서책(12) 박영순 2021-10-17 1304
75 문학 지식(인:) 인물, 개념, 서책(11) 박영순 2021-08-20 1214
74 문학 지식(인): 인물, 개념, 서책(10) 박영순 2021-06-25 1391
73 문학 지식(인): 인물, 개념, 서책(9) 박영순 2021-04-16 1406
72 문학 지식(인): 인물, 개념, 서책(8) 박영순 2021-02-17 1513
71 문학지식(인): 인물, 개념, 서책(7) 박영순 2020-12-11 1431
70 문학지식(인): 인물, 개념, 서책(6) 박영순 2020-10-25 1520
69 문학지식(인): 인물, 개념, 서책(5) 박영순 2020-08-29 1721
68 문학지식(인): 인물, 개념, 서책(4) file 박영순 2020-06-02 1829